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d라이브러리
"
전염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세상에는 수학을 죽기보다 싫어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이런 부정적 에너지가 전 우주에
전염
되고 있어요. 그리고 저희 세계의 수학자들은 이것이 우주에 어떤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거란 우려를 제기했죠. 저흰 이 현상을 조사하고 막는 역할을 하기 위해 시공간 여행을 다니고 있어요. 본의 아니게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특종20년 동안 모기를 연구한 ‘모기의 달인’을 만나다!사람들은 서울 강남구보건소
전염
병관리팀의 장순식 팀장님을 ‘모기의 달인’이라고 불러요. 모기를 알아야 제대로 잡을 수 있다는 생각에 20년째 직접 모기를 기르며 연구하고 있거든요. 장 팀장님은 ‘값도 싸고 효과도 좋으면서 환경을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전염
병이 쉽게 퍼질 수 있어 위험해요. 최근 북한산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이라는
전염
병이 퍼져 북한산 숲의 70%를 차지하는 참나무의 60%가 말라 죽을 위기에 빠지기도 했어요. 그래서 수목원을 만들 때 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나무를 심기로 했답니다.환경에 적합한 식물 찾기곤지암수목원은 ... ...
생명수학을 만나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변수를 결정한 뒤 방정식을 세우고, 시각화 한다.가장 기본이 되는 변수는 시간이다.
전염
성 질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각 집단의 개체 수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수학자들은 이를 예측하기 위한 방정식을 세운다. 이때 고려해야 하는 변수는, 시간 외에도 그 사이 자연적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돼 이가 빠지기도 하고, 온몸으로 퍼져치명적인 상태를 만들기도 하지요. 정착생활은
전염
병에도 취약했습니다. 우선 땅에 묶인 신세가 돼 병이 돌아도 떠나질 못했습니다. 그러다 한번 병이 돌면 온 마을이 쓰러지고 이웃 마을까지 번졌습니다. 이동 생활을 할 때에는 몇 가족만 희생되면 끝났지만,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품종으로 만들기 위해 근친 교배를 반복하다가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졌고, 구제역 같은
전염
병에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이다.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야생동물 중 멧돼지가 구제역에 걸려서 집단으로 폐사하는 일은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라며 “대부분 잡종인 야생 멧돼지는 질병에 약한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2003년 유엔인간정주계획(UN-HABITAT) 추산 10억 명. 그러니까 7명 중 한 명 꼴이다. 이런 곳은
전염
에 더 취약하다.이런 경제적인 ‘끝장’이 가능한 것은 인류가 진화적으로는 그리 성공적인 종이 아니기 때문이다. 진화의 승리자는 종이 다양한 생물이다. 그래야 여러 가지 환경 속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 ...
Bridge 2. 암컷의 영악한 선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않는다. 더욱이 여러 마리의 수컷과 교미하는 데는 시간과 에너지가 든다. 성병과 같은
전염
병에 걸릴 수도 있다. 또 짝외교미가 들통날 경우 현재의 짝으로부터 버림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왜 암컷은 짝외교미를 시도할까.짝외교미 또는 일처다부의 이익은 크게 물질적 이익과 유전적 이익으로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세계지배는 날렵하면서도 끈기있는 몽고말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흑사병 같은
전염
병이 만연하게 된 데도 말이 역할을 했다.말은 사람보다 크고 훨씬 힘이 세기 때문이다. 보통 건장한 말은 체중이 500kg이나 나간다. 말 애호가이기도 한 십먼 교수는 책에서 “승마를 배우는 사람은 어느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사람도 부활해 좀비가 된다. 따라서 연구팀은 상황에 맞게
전염
병 모델을 수정했다.기존
전염
병 모델에서는 사람을 예비 감염자, 감염자, 사망자로 분류한다. 대개 감염자는 회복하여 다시 예비 감염자가 되거나 죽음을 맞이해 사망자가 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상황만 고려해 방정식을 세우면 된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