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진주사
장
주사바늘
주삿바늘
주사침
바늘
관리자
d라이브러리
"
주사
"(으)로 총 96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모양을 확인한다. 그 자리에 가느다란 철선를 넣어 자리를 잡고 풍선 카테터를 넣는다.
주사
기 피스톤을 천천히 누르면서 혈관의 크기에 따라 mm 단위로 풍선을 부풀려 막힌 혈관을 넓힌다. 그 뒤 철로 만든 작은 그물(스텐트)을 설치하면 혈관을 확장한 대로 유지할 수 있다.하지만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국내에서도 꾸준히 생기고 있다. 마약 투여나 불법 성형수술 때 사용하는 더러운
주사
바늘이 C형간염 전파의 주범이다. 알코올로 소독해도 C형간염 바이러스는 죽지 않는다. 90℃ 이상으로 끓여야 한다.C형간염은 걸려도 일상생활에 별 지장이 없을 정도로 증상이 미미하다. 일반적인 건강검진에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마이크로
주사
바늘을 개발해 ‘저널 오브 메탈스’에 발표했다. 프로스니츠 박사는 “이
주사
바늘은 아주 가늘어 신경 말단을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아프지 않다”며 “약을 세포 단위로 넣거나 펌프 시스템으로 연속적으로 넣어야 할 때 편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모기 다리에서 아이디어를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박 교수는 “더 간단한 방법으로는 겨드랑이에 보톡스를
주사
해 땀을 분비시키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단기간 차단하는 방법이나 미세현미경이나 X선 영상장치를 이용해 땀을 분비하도록 만드는 교감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진피 피부의 가장 ... ...
엑스맨탄생 울버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않는다. 골수 이식의 경우 백혈병 환자와 같은 ‘수여자’는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링거
주사
를 맞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혈구 세포를 받는다.인간의 한계는 어디? 로건(울버린)의 몸에 광물질이 들어가면서 체온은 42℃까지 상승하고 심장박동은 분당 200회, 혈압은 260/180까지 오른다. 인간이라면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자총으로 시료에 전자이온빔을 쏴 튕겨져 나오는 2차 전자 신호로 영상을 얻는
주사
전자현미경과 전자가 시료를 투과해 형광판에 영상을 만드는 투과전자현미경이 있다.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자가 빛보다 파장이 짧고 전자렌즈가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자외선 차단제와 항산화 화장품을 열심히 바르는 이유다. 한편 주름과 검버섯은 보톡스
주사
와 레이저로 감쪽같이 없앨 수 있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피부과 의원을 찾고 있다. 시간을 거꾸로 가게 할 수 있다면 비용이 무슨 문제가 되겠는가.임신과 노화영화 중반, 30대가 넘은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형광영상법과 MRI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었으며, 항암제를 넣은 나노입자를 쥐에
주사
하고 MRI 로 촬영한 결과 주입하고 24시간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붙어 있어 항암제를 암세포에 전달해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2008년 3월호와 ‘앙게반테케미’ 20 ... ...
실종 아동을 둘러싼 진한 모성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이 영화의 간호사들은 왜
주사
기를 사용하지 않았을까.이는
주사
기에 사용되는 약물은 먹는 약과 성분이 같더라도 농도는 달라야 하는 특징이 있어서다. 사람 몸속에 체내와 농도가 다른 물질이 직접 들어가면 ‘삼투압’ 현상이 일어나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는데, 당시 ... ...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내느냐에 대한 해답이 나온 것도 불과 30여 년 전이다. 미국의 토니 야크쉬는 모르핀을
주사
할 경우 모르핀이 중뇌와 척수에 도달함을 발견했다. 그 뒤 영국의 과학자 한스 코스털리츠는 뇌가 모르핀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호르몬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엔돌핀’이라고 명명했다. 즉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