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
자동차
탈것
수레
운송수단
교통
운수
d라이브러리
"
차량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높아져 속도를 높이고 제동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일반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도 F1용 레이싱 서킷을 달리면 표면 마찰력이 좋아 주행 성능이 좋아진다. 하지만 단순히 주행 능력만을 고려해 서킷을 만들지는 않는다. 서킷은 그 지역의 문화와 특성을 담아 만든다. F1 서킷 중에는 시가지를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로봇을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전투 지역으로 1대 이상의 지휘통제
차량
을 보내 여러 대의 로봇을 모두 조작하는 것이다. 벌써 실용화 단계까지 이르고 있다.무인 전투 시스템 완성… 로봇 전차 활약 기대한국군은 전투로봇, 즉 ‘무인전투체계’ 계획을 이미 2005년 발표했다. ... ...
큰 소리의 대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1분간 같은 높이로 울린다. 공습경보음이 울린 뒤 경계경보음이 울리기 전까지 도로 위의
차량
은 통제되고 사람들 역시 지하대피소로 피해야 한다.민방위 훈련과 관계없이 호우나 태풍, 지진등의 재난이 닥쳐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는 재난위험 경보사이렌을 울린다.시 음보다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비롯한 각종 센서로 몸의 자세를 파악하고 균형을 잡는다.
차량
이 움직일 수 없는 지형에서 정찰과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곤충을 흉내 낸 마이크로 로봇도 개발 중이다. 곤충 로봇은 작은 몸을 이용해 적의 눈에 띄지 않고도 정찰할 수 있으며, 좁은 틈이나 ... ...
F1머신은 왜 비행기 날개를 거꾸로 달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F1의 우승을 결정하는 요소는 드라이버의 운전 테크닉이 30~40% 정도를 차지한다. 또
차량
의 시스템이 60~70%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더욱 안전하고 흥미 있는 경기를 만들기 위해 ‘국제자동차경기연맹(FIA)’에서 F1 머신의 규정을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있다. 올해에는 몇 가지 항목에서 변화가 있을 ... ...
실물처럼 정교한 스포츠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메이커 람보르기니는 이 소의 용맹함을 기려 이름을 따왔다.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는
차량
높이가 121cm가 채 되지 않는다.580마력을 내는 6.2L의 V12엔진은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8초에 불과하다. 엔진의 무서운 굉음 소리는 마치 ‘황소’가 돌진하는 듯 섬뜩하다. 속도도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례 1] A씨는 미국 웨인주립대 생체공학 센터를 찾았다. 이 건물에는
차량
충돌용 실험 장치가 있다. 자동차 조수석에 앉으면 다른 자동차가 시속 24km로 달려와 부딪친다. A씨는 쇄골과 견갑골이 부서졌고 갈비뼈 5개에 금이 갔다. 갈비뼈와 주변 근육은 숨을 쉴 때 허파가 공기를 빨아들이게 하기 ... ...
코끼리는 사륜구동으로 걷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자동차는 추진력이 좋아서 경사진 언덕길을 힘 좋게 올라간다. 하지만 사륜구동
차량
은 차체가 무거워 평지에서는 속도를 내기 힘들다.최근 영국왕립수의과대 존 허친슨 교수는 다른 육상동물보다 보폭이 큰 코끼리가 다른 동물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이유가 바로 사륜구동차의 원리와 비슷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타고 고속도로 상공을 날면 아무것도 안 보입니다. 단 흐릿한 불빛만 보이죠. 그렇지만
차량
의 흐름이나 경로는 추적이 가능합니다. 신경세포의 경로도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의 흐름과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죠.”1992년 컵 안에 떨어진 잉크 방울이 퍼져 나가는 것 같은 확산현상을 이용한 MRI ...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또 우등실 앞쪽과 뒤쪽 의자와 특실의 모든 의자에 콘센트를 설치했다.코레일 고속
차량
팀 양인철 팀장은 “KTX-II는 동력전달방식이 기계식이던 KTX와 다르게 유압식이어서 고속으로 달릴 때 고장이 나도 유압을 순간적으로 뺐다 다시 넣는 방식으로 계속해서 시속 300km를 유지할 수 있다”고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