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못"(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흙을 먹는 사람들이 있다. 특이한 믿음 때문은 아니다. 엄마가 먹고 할머니가 먹으니, 자연스럽게 먹는다. 기원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설이 있지만, 무엇도 확실치는 않다. 딱 하나 분명한 건, 더 이상 무분별하게 흙을 먹어선 안 된다는 사실이다.흙을 먹는 행동을 의학 용어로 ‘토식증’이라고 한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이 예민해 아주 옅은 향기라도 잘 맡고, 서로 다른 냄새를 잘 구분하는 사람을 ‘개 코’라고 부른다.다른 사람들은 전혀 분간이 되지 않는 냄새를 척척 맞히는 모습이 마치 마약을 탐지하는 훈련견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식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 코의 능력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첫 번째 질문 머리·얼굴·뼈… 세포 하나가 ‘열일’?“척추동물에서 유일하게 흥미로운 부분은 바로 신경능세포(neural crest cells)의 존재다.” 영국의 발달생물학자 피터 토로굿이 남긴 유명한 말입니다. 신경능세포가 도대체 어떤 세포이기에 척추동물의 수많은 세포 가운데 가장 매력적인 세포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5년 암 학계는 시끌시끌했다.그 해 1월 암 위험이 무작위적인 불운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에는 ‘네이처’에 곧바로 반박하는 논문이 나왔다. 그리고 약 1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한동안 잠잠했던 논란이 다시금 불을 지피는 모양새다. ‘암이 불운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늘 아침에도 봤다. 하루라도 안 보면 보고 싶다. 더 오래 못 보면 미칠 것 같다. 미안하지만, 남편 이야기는 아니다. 차가운 도시 여자가 입에 담기엔 너무나 부끄러운 이야기, 바로 똥이다. 동물의 소화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최근 ‘똥구멍의 물리학’을 밝혀내 화제다.※ 편집자주: 식사 시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내 집, 내 몸 보고 우주 정착선 만들었어요!”지난해 4월 특별한 소식이 전해졌어요.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전미우주학회(NSS)에서 공동으로 주최한 ‘우주 도시 설계대회(NSS-NASA Ames Space Settlement Contest)’에 참가해 대상을 받은 거예요.매년 1000여 팀이 참가하는 이 대회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타성의 진화 연구에는 또 다른 천재 한 명의 등장이 예고돼 있다.바로 조지 프라이스. 일찍부터 여러 분야에 천재성을 드러냈던 그는 왜 돌연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을까. 그리고 그 비극의 한가운데에서 홀로 무엇을 발견했을까.1975년 1월 6일, 런던은 춥고 음산했다. 한 공동묘지에서 조용히 장례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인공지능은 지적인 면에서 무서운 인간의 경쟁 상대로 떠올랐다. 그렇다면 고도로 발달한 인공지능은 역설도 해결할 수 있을까?힐베르트 호텔이나 몬티 홀 문제, 세일즈맨의 여행 문제와 같은 유형에 속하는 역설은 흔히 생각하는 역설보다는 어려운 수학, 과학 문제에 가깝다. 사람이 직관적으로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내가 용의 자손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였던 것 같다. 처음이라고 확실히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 전에도 내가 용의 자손이라는 사실을 들은 적은 있었기 때문이다.두 살 때인가, 세 살 때인가, 어머니와 아버지가 부부싸움을 약 40분 연속으로 하시고 어머니께서 열 받아서 확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