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자"(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처럼 이상한 점의 집합이어도 된다면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신기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필자도 대학생 시절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을 처음 배울 때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원을 쪼개 정사각형으로 만들기그런데 2차원에서는 바나흐-타르스키 역설과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습니다. ... ...
-
- [수학공작실]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사면체를 연결해 만든 종이장난감으로 무한히 뒤집어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필자는 SNS를 활용해 수학체험자료를 수집하던 중 러시아 수학자 알렉세이 이브첸코를 알게 됐다. 이브첸코는 자신이 개발한 플렉스큐브와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을 소개했다. 그는 교외체험전에서 플렉스큐브를 ...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2배 이상 성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이 결실을 맺은 셈이다. 필자는 한국의 과학기술정책도 오랫동안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가 발전에 기여할 방향으로 로드맵이 수립됐는지 점검하고, 과학기술이 정치를 위한 들러리로 악용되고 있는 것은 ...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목표를 가지고 노력한 결과 지금의 자리에 이르렀다. 반도체 성장의 길을 함께했던 필자가 중국의 양적 연구가 언젠가는 질적 연구로 전환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하는 이유다. 양에서 질로 변모한 사례는 슈퍼컴퓨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매년 세계 슈퍼컴퓨팅 콘퍼런스에서 발표하는 ...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진이 발생할 위험이 낮다고는 하지만 최근 포항 지진을 겪으면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필자는 이탈리아에서 이뤄진 지진 관련 연구 결과와 잘못된 지진 예측 때문에 감옥에 갈 뻔한 이탈리아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소개고자 한다. Why are there so many earthquakes in Italy? 이탈리아에서는 왜 지진이 많이 ...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doi:10.1038/nphys4214 이와 같은 알코올과 물 계면에서 ...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물을 인식하고, 사물의 패턴을 찾아내 분별하는 AI의 업무가 가능해진다. 여기서도 필자는 멤리스터를 이용한 AI 소자 전문가로서 칭화대가 개발 중인 AI 칩인 ‘톈디(天地)’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현량자고 정신 때문일까. 6년이 흐른 지금 중국은 상하이에서 학회를 참석했던 ...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남겼다. 선발뿐 아니라 불펜인 함덕주 선수, 정우람 선수 역시 좋은 활약상을 보였다. 필자는 로핑 교수의 연구 내용에서 힌트를 얻어한국야구위원회(KBO) 상위권 투수진에도 왼손 투수의 비율이 높은지 조사했다. 30개 구단으로 운영되는 메이저리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다는 점을 고려해 ...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셈이다. 이 주장대로라면 애플은 어마어마한 폭리를 취하는 악덕기업이 된다. 그러나 필자는 이 주장에 동의하기 어렵다. 경영학자로서의 경험과 지식에 비춰볼 때, 애플은 아이폰X 초도생산물량(initial production)에서는 엄청난 적자를 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IHS마켓은 부품의 시장가격을 ...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깎아놓은 것 같지만, 인간의 손길은 전혀 닿지 않은, 자연이 만들어 낸 걸작이다. 필자가 ‘투명한 나비’로 이름 붙인 위 사진 속 표본은 좌우 완벽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런 광물을 ‘쌍정(twin)’이라고 부른다. 쌍정은 광물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특히 이 표본은 이중 쌍정으로 아주 희귀한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