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기심"(으)로 총 1,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는, 우주를 탐사하려는 이유와 맞닿아 있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깔려 있다. 현실적인 목적이라면 도전하지 않을, 새로운 지하도시를 계속해서 구상하는 이유다.‘AB 엘리스’라는 건축 설계사무소는 러시아 시베리아에 버려진채 방치된 미르니 다이아몬드 광산에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문명에 대한 책을 쓰는 등, 인생의 큰 선택을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건 내 안의 호기심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과연 인류의 과학문명에 또 어떤 질문을 던질까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위대한 발견에 필요한 핵심 요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어려운 질문이지만, 호기심과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인내력이 있어야 하고, 겸손해야 한다. 무엇보다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 위험을 감수하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입자물리학에 관심이 많은 한국의 독자들, 특별히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결심했다” 고 말했다.쥐의 성생활이 줄어든 이유는?‘진짜로’ 동물에 대한 끓어오르는 호기심을 주체하지 못한 사람도 있다. 영국의 자연주의자이자 작가인 찰스 포스터는 실제로 동물처럼 산비탈에 굴을 파거나 벌레를 잡아먹기도 했다. 그는 오소리, 여우, 수달, 사슴, 새 등 다섯 종의 동물로 산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프지는 않았는데, 그 일로 주인님한테 크게 혼이 났어요. 어쩌겠어요. 저의 넘치는 호기심과 타고난 손재주를 탓해야겠죠.모두의 안전을 지켜주세요10월 8일 토요일 오후 3시 기자가 찾은 서울의 한 라쿤 카페는 시끌시끌한 시장 골목을 방불케 했다. 카페 안에는 이미 100여 명의 사람들이 여러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어떻게 치렀을까 따위를 걱정하면서.K 의원과 저녁을 먹게 된 배경에는 그런 반가움과 호기심도 작용했다. 언론에서는 그가 최근 1년 사이에 대담한 승부사로 변신한 것처럼 묘사했으나, 막상 재회하고 보니 K 의원은 전과 다름없이 부드럽고 따뜻한 신사였다. 그는 수줍게 본론을 밝혔는데, 내용은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 수업 지도 순서멸종위기 생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 묻고, 자유롭게 대답하며 호기심을 자극한다. ▶ 기사를 토대로 생물들이 얼마나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지, 또 왜 사라지고 있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 기사를 토대로 ‘인류세’의 뜻을 설명한다. ▶ 멸종위기 생물에 어떤 것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의력은 굉장히 중요해요. 생활 속의 많은 사물들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창의력의 시작이지요.”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일에도 과학이 이용된다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미래 과학자를 꿈꾼다면 즐거운 과학에 한번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둘은 서로 닮은 도형이다. 자기 자신과 닮은 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닮은 도형에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식과 기억은 설명을 듣기만 해서는 축적할 수 없다. 직접 활동하고 체험한 만큼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기억을 오래 유지할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소속 없이 연구하던 때가 제 경력에서 가장 창의적인 시간이었어요. 자유롭게 호기심에 따라 연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그는 외부로부터 아무런 연구비 지원 없이 노벨상 업적을 냈다. 34세의 나이에 벨연구소를 그만 둔 그는 8년 동안 아버지가 세운 회사에서 일하다가 42세에 다시 그만뒀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