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으)로 총 3,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영광을 안았습니다. 앞으로도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슈퍼히어로가 돼주세요! 많은 회원이 수학동아와 폴리매스를 사랑해주셨는데, 모두 담지 못해 아쉬운 마음이 가득합니다. 숫자로 평가할 수 없는 여러분의 활동 하나하나가 수학동아를 빛나게 합니다. 한 해 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제1회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통해 실리콘-구리 합금을 만드는 방법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다층 그래핀을 반도체나 회로 등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물리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필자를 포함한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이렇게 다층 그래핀에서 특이적인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SF부문이 있었고, 대상 상금이 50만 원이었다. 이때 처음 써 본 SF는 사랑이 사라진 미래 사회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아쉽게도 대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소설을 쓰는 일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처음 하게 됐다. 매년 교내 공모전이 열릴 때마다 어떤 소설을 써 보면 좋을지 고민했고, 한번은 교내 ...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마이크로파 발생기로 마이크로파를 쪼이자 플라스틱에서 나올 수 있는 수소의 97% 이상을 회수할 수 있었다.싱가포르 난양공대 연구팀은 마이크로파 대신 자연광을 이용한 인공광합성 기술로 플라스틱을 유용한 화학물질로 변환했다. 일부 플라스틱을 발전소 전기 생산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중요한 한 가지 지표”라며 “이를 바탕으로 과거 노벨상에 선정됐던 분야인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올해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단 한 명도 맞추지 못했다. 9월 23일 2020년 피인용률 우수 연구자 24명을 발표했고, 여기에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렬되고 3차원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진 물질’에서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회절무늬 형태를 가진 고체’로 말이다. ★준결정 물질의 쓰임★준결정 구조는 재료 공학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준결정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셰흐트만 교수가 발견한 5회 대칭구조 외에도 여러 ...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코로나19가 유행한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횟수는 전국 평균 128회로 2019년 상반기(579회)에 비해 약 4분의 1로 감소했다.대표적인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도 줄었다. 5월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2020년 4월 7일 전 세계 이산화탄소 일간 ...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도 판매 한 달여 만에 2만 부나 팔렸다. 김 교수의 책은 사회,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사례를 끌어오면서도 수학과 관련된 내용은 꼼꼼하게 짚고 넘어간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개념인 ‘집합’에 대한 이야기는 ‘수가 무엇인가’라는 심오한 탐구까지 이어진다. 김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5 PM]TOPIC ④ 점점 커지는 인공지능 의존도 오늘 소개할 마지막 영화입니다. 미래의 계급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엘리시움’인데요. 영화 후반부에 한 아이의 불치병을 2초 만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인공지능 기계가 등장합니다. 이처럼 순간 판단이 중요한 일에 인공지능이 쓰여 오류가 일어날 ...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프로젝트의 막바지에는 각 조의 프로토타입을 시연하는 발표회도 진행합니다. 발표회에서 그림과 기호로 표현한 포스터로 아이디어를 표현하거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영상을 추가하면 자신들이 완성한 프로토타입의 특징과 성능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