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어린이과학동아
"
돌
"(으)로 총 1,633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곤충탐사대 - 220810 - 4
탐사기록
l
20220810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작은
돌
도 옮기는 개미들 ...
탐사기록
l
20220809
7월 9일 홍제천에서 만난 말매미 이야기예요.홍제천
돌
다리를 건너다가 아빠가 물 위에 떠내려오던 매미를 건져주었어요.제가 조심스럽게 받아서 나무 위에 잘 올려놔주었어요.홍제천을 떠내려 오는 매미를 발견하고 바로 건져 준 아빠가 멋져 보였어요.매미가 젖은 날개를 잘 말리고 날아가길 기도했어요~ ...
탐사기록
l
20220804
체집날짜:7월31채집장소: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장편리 641-1 하송교 아래 보에서 채집수온:24°C주변환경:주변에 농지와 민가가 꽤 있었고 수변부가 발달되어 있었다.하천바닥상태:모래와
돌
로 이루어져 있고 보 상류에는 양쪽 끝으로 뻘이 있는데 허벅지 까지 빠진다 유기물도 꽤 많은편이다.탁도:비가 와서 조금 흐림관찰종류:참갈겨니HK타입 ...
탐사기록
l
20220804
채집날짜:2022년 7월31일채집장소: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장평리 641-1 하송교아래 보에서 채집 군업천수온:24°C주변환경:주변에 논고 민가가 꽤 있었고 수변부가 발달되어 있었다하천바닥상태:모래와
돌
로 이루어져 있고 보 상류에는 양쪽 끝으로 뻘이 있는데 허벅지 까지 빠진다 유기물도 바닥에 꽤 많은편이다탁도:비가 와서 조금 흐림관찰종류:피 ...
와
돌
아버릭ㅔㅆ네요
포스팅
l
20220801
숙제 진짜 리얼 내가 아무로 사랑하는 만큼 많아요 아무로 사랑하는 만큼:: 사진 아카아무 아카아무코 아무로 제로티 제로집행인 짤로 가득하고 ㅅ간 날때마다 넷플 제로티 계속 보고 아무로 렌티큘러 돈주고 사고 아무로 긂 그리고 고쇼꺼 리멬하고 아무로 누이 구루미 사고 아무로 성우 사인받고 아무로 집착광공인데 그만큼 숙제가 만아서 진짜 죽을수도 있어요 근데 어 ...
야간 매미 탐사 후기
기사
l
20220801
팀별로 매미를 찾으로 출발했습니다. 저희는 살아있는 참매미 1마리 탈피각 2개를 찾았습니다. 어떤 분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분이
돌
위에 탈피각을 올려두셔서 저희도 두었는데 나중에 우화하는 걸 끝나고 보니 털매미, 참매미, 말매미, 애매미종을 다 모여있더라고요. 리더팀 분들이 정리하시고 계시더라고요. 이번 탐사의 메인 이벤트였던 우화 과정을 ...
얼스패밀리 - 220731 - 2
탐사기록
l
20220731
적응해 살고있음. 머리쪽을 보면 입쪽으로 내려오는 빨간색 두개의 브이라인이 보임. 유속이 있고 잔자갈이 깔려있고 자갈이나
돌
밑에 사는것을 선호 함. 댐,저수지,하천등에 살고 적응력이 풍부함.얼룩동사리우리나라 학자에 의하여 발견되어 1980년,1984년,1985년도에 신종으로 기록됨. 우리나라 고유종이고 다른 물고기를 잡아 먹고.삼. 육식성이고 ...
벌교 기수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
기사
l
20220728
안녕하세요.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바닷물고기 연구원이자, 인하대학교에서 어류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차다현 원구원입니다. 벌써 저의 두번 째 기사를 작성합니다! 이번 기사의 주제는 '벌교 기수역에서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입니다. 22년도 7월 24일 ... ---------- 이번에는 저와 같이 기수역에 사는 물고기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또 새로운 ...
ㅈ..저 기억하시는 분?
포스팅
l
20220728
채령 입덕했고요 방탄은 2년 넘게 좋아했는데 이제 휴식 기간을 거치는 중이에요.. 어쩌면 탈덕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요즘엔 남
돌
보다 여
돌
에 관심 많은 듯! 또 관련 없는 이야기지만 제 3마리의 달팽이들 중 1마리가 저번주? 이번주 정도에 사망하게 되었어요.. 식물 하나 사서 밖에다 식물이랑 그 껍데기만 남은 걸 잘 묻어주고 그 식 ...
민물고기 현장교육 생생후기
기사
l
20220725
가슴장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좀 더 안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계곡밑은 보이지 않으므로
돌
이 미끄러웠습니다. 발 밑의
돌
을 조심하세요! 채집이 끝난 후 박사님의 설명을 들었습니다. 이물고기는 어디에서 사는지 누구 인지 등 많은 설명을 해 주셨습니다. 저희는 12종의 민물고기에 대해 설명을 들었습니다. 다들 처음에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