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아시아"(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 완치자, 어떻게 된 걸까?기사 l20200607
- 김수안 기자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줄여서 말하자면 코로나19. 우한에서부터 시작해 중국 전역을 휩쓸고 점차 아시아에 퍼지고 천천히 대륙을 거쳐 전파했지요. 우한에서 처음 나왔을 때 후들후들 거렸던 거 다 지난일이네요. 확진자 소식만 있는 건 아니지요. 사망자 소식과 완치자 소식 이죠.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 체료제 소식은 ...
- 삵과 고양이의 차이점기사 l20200602
- 완전히 다른종이라는 거지요. 두 종은 유전학적으로 다릅니다. 혈연관계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삵은 러시아 연해주 등 동아시아에 분포되어 있으며 멸종위기동식물 2급, 고양이는 이집트 원산으로 중국을 거쳐 유입된 종이에요.~ 고양이와 달리 코 위로부터 이마를 따라 뚜렷한 흰색, 검은색 줄무늬가 보이며, 몸 전체로 황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구요. ...
- 끈끈이 주걱과 네펜데스기사 l20200527
- 소개할 거에요. 이 식물은 네펜데스에요. 네펜데스의 학명은 네펜데스 알라타지요. 원산지는 보르네오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시아고 서식지는 보르네오 섬,중국 남부,인도 차이나 등이에요. 네펜데스는 식충식물이에요. 식충식물들의 곤충잡이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네펜데스의 곤충잡이 방법은 함정식이에요. 네펜데스는 달콤한 향으로 벌레를 유인해 항아리 모 ...
- 세상에서 가장 큰 보아뱀 3종류를 알아보자!기사 l20200526
- 비단뱀의 먹이는 쥐, 닭, 육지에 올라와 있는 악어 등이 있어요. 3.버마비단뱀 버마비단뱀은 동남아시아가 고향이지만, 미국 플로리다로 많이 수입 되서 생태계교란을 하고 있는 뱀인데요. 애완으로 키우는 뱀 중에서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종이예요. 여러분들도 가끔 목에 뱀을 걸고 사진을 찍은 모습을 본 ...
- 우린 서로 다르다구! 너구리와 라쿤의 오해기사 l20200526
- 개과의 포유류로 크기는 50~68cm로 체중은 4~10kg 정도고 수명은 7~10년입니다. 서식지는 삼림,계곡 등에서 삽니다. 분포지역은 유럽과 동아시아지만,요즘엔 많이 보기 힘들어졌죠. 몸은 땅딸막하고 네 다리는 모두 짧고 털 색은 대체적으로 어두운 색입니다. 주로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가끔 나타납니다. 물론 낮에는 숲이나 동굴, 바위 틈같이 ...
- 코로나19와 세계의 문제 인종차별코로나19와 세계의 문제 인종차별기사 l20200520
- 계시는데, 인종 차별을 당해본 경험이 있으셨다고 해. 하지만 지금 흑인들만 차별을 받고 있는게 아니야. 지금 우리 한국인을 포함해 아시아 사람들이 미국이나 유럽쪽에서 차별을 받고 있어. 유튜브에 아시안 코로나 인종차별이라고 치면 사람들의 브이로그부터 뉴스까지 쟈르륵 뜨니까 나중에 한번 봐봐. 나도 그걸 보는데 정말 억울했어. 미국의 트롬프 대통 ...
- 요즘 생태계교란 생물의 핫이슈, 미국가재!기사 l20200503
- 가재를 잡아먹는 천적인 육식성 물고기와 물새를 크게 키워서 미국가재를 잡아먹게 하면 될 것 같다는 생각도 해봤어요. ^^ < 출처: 아시아 투데이 포스트> 이번에는 생태계교란 생물에서 핫이슈인 미국가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특히 애완용으로 팔리다가 무분별하게 방생 됐다고 하는데, 그런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겠죠? 미국가재를 ...
- 생태계교란 생물의 위험성을 알아보자!기사 l20200501
- 하니 왠지 무섭네요! < 가시박 - 출처 : 한국식물생태보감 > 5.환삼덩굴 겉보기에는 평범해 보이는 환삼덩굴의 고향은 동아시아입니다. 전국에 고루 분포하며 2016년 전국 95곳에서 주로 자라는 것이 확인됐어요. 덩굴로 자라며 원줄기와 잎자루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어요. 긴잎자루 끝에서 손바닥 모양의 잎이 5~7개로 갈라져 있어요. ...
- 폿팅 또올려요오오오오오오!!!!!! 기사많이봐주세요오오오오오!!!!포스팅 l20200421
- 기사 추천눌러주며어어언!감사하게습니다요오오오오!!! 많이봐주시고오오오오! 댓글도 많이달아주세요오오오옹!!!!! 기사들어가서 2누르면 더쥬에 다녀오다있습니다아아아아앙! (출저: 아시아 투데이 뉴스) ...
- 역사속 사망자가 많은 전염병 top 5기사 l20200419
- 쥐와 벼룩에 의해 퍼집니다. 또한 흑사병이란 이름은 피부가 검게 변하는 증상이 있어서 붙여졌습니다. 흑사병은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등지에서 번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한 상선이 이탈리아에 도착하면서부터 유럽에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곳이어 이탈리아 전역에 확산되었고, 벨기에 등 몇몇 지역을 뺀 유럽 전체로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죽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