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목
목재
재목
트리
묘목
목본
소리나무
뉴스
"
나무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속의 물고기 무늬
팝뉴스
l
2021.12.25
무늬가 있어서 깜짝 놀랐다면서 사진을 공개했다. 정확히 물고기 모습이다. 마치
나무
속에서 물고기가 화석이 되기라도 한 것 같다.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주목을 받으며 화제를 일으켰다. 물론 우연이 일치이겠지만 신비한 느낌을 주는 사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지구는 살아있다]용암동굴에서 어떻게 석회동굴 생성물이 자랄까
2021.12.25
운이 좋은 동굴학자입니다. 용천동굴에서 자라는 특이한 형태의 동굴 생성물.
나무
의 뿌리가 동굴 속으로 뚫고 들어오고, 이후 석회성분의 지하수가 뿌리를 타고 떨어졌다. 뿌리 주위에 석회성분의 광물이 자라면서 특이한 동굴 생성물이 만들어졌다. 우경식 제공 ※필자소개 우경식 강원대학교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바다와 노란 모래사장, 초록색 숲까지 이름 모를 섬의 한 해변을 연상케하는 이 사진에서
나무
의 높이는 고작 0.4mm에 불과하다. 미국 오번대 연구팀은 이황화몰리브덴 결정 구조에 레이저를 쪼아 모양을 만들고 이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영상화했다. SEM의 흑백 사진에 인공적으로 색을 입힌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현대 임업의 발상지, 기후변화로 새 산림 관리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이곳에는 전 세계 약 200종의
나무
가 심어졌는데 그중 100종은 여전히 자라고 있다.
나무
가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인 셈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좋게 바라봐주는 것만으로도 좋은 사람이 된다
2021.11.20
그렇지 않을 거라고 보면 행동이 일시적이라는 해석을 내린 것이다. '떡잎을 보면
나무
를 안다'는 말처럼 일찍이 나타난 행동으로 미래의 행동까지 판단하는지 여부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행동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판단이다. 어떤 행동이 다양한 상황들에 걸쳐 널리 나타날 것이라고 본다면 ... ...
서울 관악산에 첫눈 관측... 공식 서울 첫눈은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1.11.09
서울 관악산에서 8일 밤 첫눈이 관측됐다. 기상청 제공 서울 관악산에 8일 밤 올해 첫눈이 관측됐다. 서울 첫눈은 종로구 송월동 기준이라 공식 첫눈 ... 많은 눈이 쌓이며 대설특보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 한라산 윗세오름에서도 9일
나무
위에 눈이 쌓인 모습이 관측됐다. 기상청 제공 ... ...
산업화로 점점 뜨거워지는 도시들, 2050년 도시인 16억명 폭염 시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지역은 주변 지역과 비교해 온도가 평균 4도나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의 경우
나무
가 도시를 덮어 열을 줄여주는 경제적 효과를 연간 53억~121억 달러(약 6조 2529억~14조 2756억 원)로 추정됐다. UNEP는 "전 세계적으로 가로수 조성에 연간 1억 달러(1180억 원)를 투자하면 7700만 명이 더운 날에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백신 둘러싼 인본주의와 자본주의의 전쟁
2021.11.04
이익으로 돌아온다. 즉, mRNA 백신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만 공급하는 현재의 상황은,
나무
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실수라는 뜻이다. 과학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분명 mRNA 백신이라는 최고의 선물을 인류에 제공했다. 하지만 이렇게 제공된 기술이 인본주의적인 이상에 기반해 ... ...
[랩큐멘터리]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는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박주홍 포스텍 IT융합공학과 교수 연구실의 대표적인 연구 분야는 로보틱 건축이다.
나무
조각을 활용한 벽체는 건축에 예술을 부여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임무를 로봇을 통해 더욱 정교하게 구현해 낸 예다. 포스텍 인근 농지를 구해 로봇이 목재와 철재를 운반하고 로봇을 활용한 3D 프린팅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과 생강(ginger)은 둘 다 피한다. pb에는 캡사이신과 비슷한 분자(캡2)가 들어있지만 북부
나무
두더지는 캡2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하게 진화해 pb를 먹이로 삼는 데 성공했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