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뉴스
"
녹색
"(으)로 총 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줄 방지제·팔굽혀펴기 보조기구 개발한 '초중고생 발명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2)이 선정됐다. 김지민 학생은 “등교 때 횡단보도에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고생하시는
녹색
어머니회를 대신할 차단기를 만들었다”라며 “등교시간대를 설정해 자동으로 차단기가 작동하게 해 인력과 날씨 제한 없이 필요한 시간에 안전하게 등교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고등학교 ...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오른쪽) 비교 사진. 뉴로필린-1을 차단하면 인체 세포 안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백질(
녹색
)이 많이 줄어들었다. 영국 브리스톨대 제공 ●코로나19의 독특한 증상 ‘후각상실’과도 관련 있어 사이먼스 교수팀 역시 NRP1이 퓨린가수부내효소에 의해 잘린 부위와 결합하며, NRP1의 활동을 저해할 수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인체 침투 제2의 경로 밝혔다...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실마리'
2020.10.23
오른쪽) 비교 사진. 뉴로필린-1을 차단하면 인체 세포 안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단백질(
녹색
)이 많이 줄어들었다. 영국 브리스톨대 제공 전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는 또 다른 경로가 밝혀졌다. 이를 차단하면 코로나 감염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 ...
OLED 해상도 한계, '메타표면' 거울로 뛰어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내는 빛을 원하는 색으로 반사한다. 색깔을 띠는 OLED는 기판 위에 적색과
녹색
, 청색 유기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뿌려 제작하다보니 공정이 까다롭고 해상도를 높이기 어렵다. 또 백색 OLED에 색상 필터를 넣으면 해상도는 높아지지만 밝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필터 대신 메타표면 ... ...
케냐판 KAIST에 한국형
녹색
건축 인증 적용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KIST)에 이은 G-SEED 해외진출 두 번째 사례”라며 “국내 친환경 건축자재, 건축물 설계 등
녹색
건축 분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발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빛을 내는 광원인 퀀텀닷 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효율과 안정성을 높인 적색광과
녹색
광 퀀텀닷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청색광 퀀텀닷은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퀀텀닷은 크기가 작아지면 청색에 가까운 빛을 낸다. 하지만 퀀텀닷이 작아지면 오히려 표면적은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다른 빛을 내는 광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배 교수는 “청색은 에너지가 세기 때문에
녹색
이나 적색으로 변환하는 기저 광원으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 ...
QLED 기술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뒤에 둔 후 앞에 적색 퀀텀닷과 초록색 퀀텀닷 컬러필터를 부착하는 방식이다. 붉은색과
녹색
은 푸른색 광원을 흡수해 다시 빛을 발산하는 퀀텀닷이 내는 색이다. 파란색은 발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그대로 눈에 들어온다.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QLED 디스플레이는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백라이트가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진정한 의미의 QLED 디스플레이는 아니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연구진은 지난해 적색광과
녹색
광에서 자발광 QLED 효율과 안정성을 끌어올린 데 이어 이번에는 청색광 개발에도 성공하며 자발광 QLED 상용화의 가능성을 높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자발광 QLED TV가 상용화까지는 아직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변이 다양성을 표시한 그래프다. 다양한 영역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진한
녹색
으로 표시한 S라는 표시 영역이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RNA 영역이며, 여기에 솟은 피크가 614번 아미노산 변이다(가운데). 아래는 D와 G614 변이를 계통별로 비교한 계통도다(아래). 넥스트스트레인 화면 캡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