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의
말다툼
토론
언쟁
분쟁
쟁론
투쟁
뉴스
"
논쟁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죽은 지 4시간, 뇌세포가 다시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것도 제안했다. 약물에 의한 반응 등을 연구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여러 윤리적
논쟁
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죽은 동물의 뇌의 세포 일부를 브레인엑스를 써서 활성화시킨 뒤 약물이나 의학 실험에 쓰는 것부터 논란이다. 크리스틴 그레이디 미국국립보건원 임상센터 생명윤리학과장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
2019.04.13
그동안 낙태죄는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자기결정권’ 간의 이분법적 구도에서
논쟁
이 제기돼 왔다. 게티이미지뱅크 낙태를 반대하는 이유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태아의 생명권’이다. 하지만 의문은 한국에선 성감별 낙태가 흔했는데 이에 대해 반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지 잘 ... ...
[과학촌평]지진,‘알 권리’와 정치,그리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근거가 밝혀진 것으로 호도하고 책임 소재를 가리는 정치 논리만 들이대면 곤란하다.
논쟁
을 통해 진보하는 과학의 특성을 무시해서도 안된다. 학계 내에서의 이견을 충분히 검토하고 예상하지 못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내외 연구 역량을 모으는 방안을 지금부터라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 ...
아직 조사중인데…연구비 끊고 장비사용료 지급 일방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8
LBNL 측에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비이용 대금은 신 총장을 둘러싼 의혹에서 중요한
논쟁
지점 중 하나다. DGIST는 2012년 2월 LBNL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같은 해 7월 DGIST 내에 연구협력센터를 설립하며 협력연구를 시작했다. 이 센터를 바탕으로 DGIST는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센터 사업을 ... ...
우주 극한환경서 살아남은 고세균 화성서 발견될까
연합뉴스
l
2019.03.27
원시생명이 다른 천체에서 운석을 타고 왔다는 것으로 과학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
거리가 돼왔다. [DLR 제공] DLR은 무엇보다 바이오멕스가 화성 생명체 탐사를 진일보시켰을 뿐만 아니라 우주의 '생명체 지표'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유럽우주국(ESA)이 오는 2020년 발사를 준비 ... ...
무선 전자기기 전성시대...과연 건강은 괜찮을까
2019.03.24
유발할 수 없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어느 화학물질보다 증거가 탄탄히 쌓여 있다”며
논쟁
의 대상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확신이 강하다. 숱한 휴대용 무선 전자기기를 매일 쓰는 요즘. 하지만 건강 영향을 너무 염려할 필요는 없다. 고재원 기자 ●“무선이어폰 전자파 휴대전화보다 낮아” ... ...
한국이 일찌감치 배울 수 있던 유발지진 경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매튜 웨인가르텐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원팀이 미국 중부지역에서 1973~2014년 사이에 발생한 지진을 표시한 지도다. 붉은 점이 수압파쇄를 위해 관정을 만든 곳 부근의 ...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은 “외국인 학자들도 이런 단층의 사전 조사 가능 여부에 대해
논쟁
이 많다”고 전했다. ... ...
복지부 '스마트의료'로 이름 바꿔 '원격의료' 허용 재추진
연합뉴스
l
2019.03.15
019년 주요 업무계획에 포함…원격의료 찬반
논쟁
재점화 의사단체 "스마트폰 통한 저질의료만 양산하려 하나" [보건복지부 제공=연합뉴스] 보건복지부가 올해 주요업무 계획에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 허용 추진'을 포함시켜 의사단체와의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 의사-환자 원격진료는 ... ...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지칭했다. 블랙홀에 들어간 정보의 손실 여부는 물리학자들의 첨예한
논쟁
거리였다. 사실 호킹은 1983년 “블랙홀이 증발할 때 블랙홀 안에 있던 정보도 사라진다”고 했다가 2004년과 2015년 자신의 주장을 뒤엎고 “블랙홀에 정보가 남아있다”고 주장했다. 블랙홀에 빨려간 정보가 사라질 수 ... ...
[뉴스룸]콧대 높은 학술지로부터의 해방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요구했다. 사실 이 문제는 ‘연구자의 논문이 누구의 것이어야 하는가’라는 오랜
논쟁
과 관련이 있다. 오늘날 과학 연구개발(R&D)의 상당수는 정부가 연구비를 지원한다. 따라서 그 성과는 무료로 공유해야 한다는 게 학계의 주장이다. 이른바 ‘오픈액세스’라고 불린다. 반면 출판계는 논문을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