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과학을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것임을 지적한다. P값 해킹을 비롯한 영가설검증법을
둘
러싼 문제들은 실험결과에 어떻게던 권위를 부여해 논문이라는 연구자의 화폐를 발행하려는 과학자들의 욕망을 드러낸다. 이런 욕망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효과가 없는 연구결과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수밖에 없다. 파동함수가 0이라는 뜻은 이런 상태가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다. 즉, 전자
둘
이 같은 상태에 존재할 수 없다. 이것이 바로 파울리의 배타원리에 다름 아니다. 그러니까 페르미온은 배타원리를 만족하는 입자들이다. 반면 보존은 같은 상태에 여러 개의 입자가 동시에 있을 수 있다. 두 ... ...
코로나 신규확진 19만8803명 사망자 128명 역대 최다…재택 치료자 85만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나타났다. 이날 0시 기준 검사 양성률은 51.3%로 전날 30.5%에서 급증했다. 검사받은 인원
둘
중 하나는 양성 판정을 받는 것이다. 국무총리 비서실에 따르면 김부겸 국무총리도 3일 자가검진키트를 이용한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돼 PCR 검사를 받을 예정이다. 김 총리는 2·28민주운동 기념식 ... ...
"연구 많이 하는 병원일수록 환자 치료 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2
분석했다. 메디케어 내 환자 사망률, 환자 평가 등 의료품질지수와 논문 데이터를 연동해
둘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출판물이 많은 병원일수록 심장마비와 심부전, 폐렴, 만성 폐쇄성 폐질환, 관상동맥 우회술 등에서 환자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물이 많은 병원은 ... ...
아픈 개를 위로하는 개
팝뉴스
l
2022.03.01
개가 서로 다정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 같다. 자세히 보면 한 친구는 아프다. 그래서
둘
은 단순한 대화를 나누는 게 아니라 한 마리의 개가 다른 친구를 위로하는 것 같다. 그런데 그 짐작이 맞는다. 사진은 미국의 한 동물병원에 촬영된 것이다. 의사는 치료 받는 개가 긴장하거나 지루해하지 ... ...
[인터뷰]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
과학동아
l
2022.02.26
DGIST 연구실에서 만난 박 교수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고자 관심 있는 연구를 하나
둘
모으다 보니 많아졌다"며 기사를 모으는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로 그의 연구실에서는 고분자화합물을 다루는 순수 화학 연구부터 실생활에 유용한 약물 전달체와 인공 광합성까지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 ...
[주말N수학] 모순 웅덩이
2022.02.19
그 예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참이다’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거짓이다’가
둘
다 증명 가능하다는 가정 아래 ‘유니콘은 존재한다’를 증명해 보겠습니다. 이처럼 하나의 모순으로부터 모든 명제가 증명돼 버리는 현상을 ‘폭발 원리’라고 부릅니다. 이런 점에서 모순은 마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효과'라 부른다. 독일의 아르놀트 조머펠트는 보어의 원자모형에 새로운 양자수를
둘
추가해 슈타르크 효과와 정상 제이만 효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 조머펠트가 도입한 새로운 양자수는 k(부양자수, 이후로는 주로 l을 쓴다)와 m(자기 양자수)이었는데 k는 입자의 각운동량의 크기이고 m은 ... ...
분자
둘
중 한쪽 방향으로만 꼬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KAIST 화학과의 서명은 교수(왼쪽)와 강준수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초분자가 단일 카이랄성을 갖는 원리를 밝혀냈다. KAIST 제공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분자는 오른손과 왼손처럼 모양은 같지만 서로 겹칠 수 없는 거울상이 존재한다. 그러나 지구상에서 탄생한 생명은 한 종류의 거울상 아 ... ...
[랩큐멘터리] 광소자 소형화·집적화로 양자통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중 단일 광자를 이용한 양자통신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빛 알갱이인 광자는
둘
로 나눌 수 없고 복제가 불가능한 특성이 있어, 양자통신은 해킹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군사∙금융∙산업 등 보안이 중시되는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다. 신희득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양자 나노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