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뉴스
"
발명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팅 사고력 ②초등학생도 푸는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8.09.25
영위할 수 있다는 걸 여러분도 이제 아셨겠죠? 그렇다면 여러분도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발명
품으로 만들고 싶을 겁니다. 먼저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대회인 ‘비버챌린지’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을 자극해 보세요. 2004년 발렌티나 데기에녜 리투아니아 빌뉴스대학교 정보교육과 교수는 ... ...
컴퓨팅 사고력 ① 녹녹맨
발명
기로 알아보는 핵심요소 4가지
수학동아
l
2018.09.25
처리할 수 있도록 코드를 짜야겠죠?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면 드디어
발명
품 완성! *출처 : 수학동아 9월호(2018. 9. 1 발행) '비버가 알려준다! 우리에게 필요한건 컴퓨팅 사고력 ... ...
조선업 특허출원 3년만에 반토막…기술 경쟁력도 상실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자료: 특허청 조선업 장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가늠하는 특허 출원도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특허청이 발표한 조선업 ... “국내 조선산업의 성패는 기술 경쟁력에 있으며,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발명
자를 우대하고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자체는 명쾌한 발음을 낼 수 있는 구조였지만 머리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언어’를
발명
하지 못한 것일지도 모른다. 천재 앵무새 알렉스는 색, 모양, 숫자에 대한 개념을 터득해 사람과 말로 진정한 대화를 나눴다. 예를 들어 사진의 상황에서 “녹색 큐브가 몇 개?”라고 묻자 “네 개”라고 ... ...
과학 꿈 키우고
발명
가 등용문 된 40년
2018.09.05
“기업 활동에서 특허 의존도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직접 지적 능력을 동원해
발명
품을 만들고 제품화한 사람이 안정적으로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 ...
강속구로 승부하라! 메이저리그 선발투수 100명 투구 빅데이터 분석
2018.08.24
않더라도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혹자는 과학은 ‘발견’이지 ‘
발명
’은 아니라고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을 이해하며 인류가 갖고 있는 지식의 진보를 이끄는 것이 과학이다. 또 기존에 증명하지 못하던 것을 풀어내는 것도 과학이다. 다양한 구종 뒤에는 튼튼한 기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간빙기인 홀로세가 1만 년 넘게 지속된 시점에서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이 산업화라는
발명
으로 화석연료를 태우기 시작하면서 지구가 이 사이클을 벗어나 새로운 길로 접어들고 있다(오른쪽 위).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의 2도 이내로 유지할 경우는 ‘안정화된 지구’의 경로를 밟지만 그 값을 ... ...
“할아버지와 즐긴 게임, 창의적 과학 완구로 재탄생시켰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제40회 전국학생과학
발명
품경진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은 김승준 군(대구교대부설초 5)이 기존 보드게임의 고정관념을 깬 새로운 과학 완구 ‘픽앤스핀’을 소 ... 의자를 만들고 싶어요.” 변화하는 게임을 만들더니 변화하는 의자를 만든단다. 이 어린
발명
가의 ‘변화’도 기대된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독수리의 시력보다 좋은 눈: 렌즈의 이용
2018.07.28
기능이에요. 볼록 렌즈 덕분에 현미경이
발명
되어 과학을 크게 발전시켰어요. 현미경이
발명
된 후 사람들은 미세한 세계를 관찰할 수 있었어요. 세균은 아주 작은 생물이어서 시력이 꽤 좋은 사람도 맨눈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지만, 볼록 렌즈로 정밀하게 만든 현미경을 이용하면서부터 우리는 실제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페트병으로 우주를 본다? 천체망원경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27
3배 정도 크게 볼 수 있었지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의
발명
에 큰 관심을 보였어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보면 눈으로 볼 수 없었던 작은 별들을 볼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거죠. 이 예상은 적중했고,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의 위성을 발견했답니다. 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