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술도서관
자료실
뉴스
"
연구도서관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 아이는 '팝콘 브레인'···독해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부채꼴 N1M1B1을 그리고, 중심이 D1, 반지름의 길이가 C1D1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π/2인 부채꼴 D1M1C1을 그린다…(중략)’.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탐구영역에 나왔던 이 문항은 그림 3개를 포함하고, 문제 길이만 11줄에 달한다. 장민영 양(서울 진관고 3학년)은 “이 정도 길이의 문제는 ... ...
선배로부터 듣는 여성 과학기술인의 길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멘토링 데이'를 통해 강연 중인 류석영 KAIST 교수(왼쪽)와 이미재 한국세라믹기술원 책임연구원(오른쪽)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과학기술 관련 전문가를 꿈꾸는 여학생들에게 현업 선배들의 노하우를 전하는 ‘여성과학자 멘토링 데이’가 지난 2월 5일 서울대학교 해동도서관에서 열렸다. ‘여성 ... ...
가속기의 방해꾼 '빛'을 이용해 첨단기술 업그레이드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포항 방사광 가속기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초창기에 개발된 1세대 가속기는 입자물리학 분야 연구를 위해 주로 전자나 양성자 충돌 실험에만 사용됐다. 이 때문에 입자를 얼마나 빨리 가속시킬 수 있는가가 관건이었다. 입자 가속시 발생하는 빛은 연구의 방해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 ...
손으로 5개국어를 배운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손과 뇌 - 바다 제공 ◆손과 뇌(구보타 기소우 著, 바다 刊) 장애를 극복한 여성이자 사회운동을 실천한 헬렌 켈러는 어렸을 적 앤 설리번 선생에게 ‘손’을 통해 모든 사물을 배우고 익혔다. 설리번 선생이 어린 켈러의 손에 찬 물을 적시고 ‘water’라는 철자를 적어 알려주었다는 일화가 유명 ... ...
두 얼굴의 사나이? 아니, 두 얼굴의 곰팡이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주요 병원성 곰팡이 - 연세대 제공 제2차 세계대전 때 만들어져 수많은 사람을 살린 항생제 ‘페니실린’은 영국의 미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1881~1995)이 ‘푸른곰팡이’가 포도상구균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면서 탄생한 약품이다. 현재까지 약 6만9000여 종이 보고된 곰팡이 ... ...
[책의 향기/글로벌 북 카페]아이를 망치고 싶다면 스마트폰을 던져줘라
동아일보
l
2014.01.12
[동아일보] 심리학자 캐서린 스타이너 아데어의 ‘큰 단절’ 유아가 온라인쇼핑 주문 버튼을 잘못 누르는 바람에 거액의 제품이 배달돼 부모를 곤혹스럽게 했다는 해외토픽은 이젠 뉴스거리가 아니다. 아이들의 디지털 노출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사용 시간도 늘어나 버린 세상에 사는 부모들은 참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3.12.27
최근 공룡의 배설물을 바퀴벌레가 깨끗이 먹어 치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슬로바키아 과학아카데미 지질학 연구소 피터 브란스키 교수팀은 지금은 멸종한 고대 바퀴벌레 ‘블라툴리다에(Blattulidae)’의 똥에서 초식공룡 배설물로부터 온 것으로 보이는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고 미국공공도서 ... ...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 일자리를 잃은 사람은 일찍 늙는다는 속설이 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 는 실직한 사람들은 우울함과 무기력함이 온몸을 뒤덮으며 얼굴은 풀이 죽 고 어깨가 축 처져 제 나이보다 더 들어보이곤 한다. 그렇다면 실직한 사람 이 나이가 들어 보이는 ... ...
단순한 코드로 만든 '돌고래 번역기'
수학동아
l
2013.12.09
단순한 코드로 만든 '돌고래 번역기'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우리 모두에게 고유의 이름이 있듯이, 돌고래도 서로의 이름을 부른다는 추측은 예전부터 있었다. 그런데 미국 국립수학및생물학연구소의 애릭 케르센바움 박사가 최근 이 주장에 대한 증거를 찾았다고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회보에 발 ... ...
멀리 떨어진 두 문을 동시에 통과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양자컴퓨터는 큰 방만한 크기인데, 프로세서가 양자교란을 받지 않게 절대온도 0.02도의 극저온을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 D-Wave 제공 사람 한 명이 떨어진 두 장소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을까? 적어도 ‘거시’ 세계에 살고 있는 인간에게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