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뉴스
"
용액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 안하는 전기차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3
-사진 제공 UNIST 조 교수팀은 전지에 일종의 펌프를 설치해 내부에서 전자를 전달하는
용액
인 전해액이 계속 흐를 수 있게 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마치 경찰차가 끊임없이 도시를 돌아다니며 쓰레기 무단투기를 감시하는 것처럼, 전해질이 순환하며 부산물이 전극에 침전되지 못하도록 막았다. 그 ... ...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13
그럼 구리만 산화되면서 표면으로 모이게 되지요. 이후 식물을 갈아서 만든 산성
용액
으로 표면을 닦으면 산의 작용으로 구리 산화물이 없어지고, 유물에서 광이 나게 된답니다. ☞엘도라도 전시정보 확인 박쥐인형 장신구 얼굴은 사람, 몸은 박쥐! “이 유물은 미키마우스를 닮았어요!” ... ...
로봇도 촉감 느낀다…자극감지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도포할 수 있으면서도 빠르게 굳는 특수
용액
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개발한
용액
을 로봇의 원하는 부위에 뿌린 뒤 굳히면 인공피부가 형성된다. 저비용으로 넓은 대면적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복잡한 형태를 지닌 로봇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인공피부는 인간의 피부와 ... ...
초고해상도 OLED 제작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용액
공정이 아닌 진공 중 유기물질을 융해 증발시켜 접착시키는 ‘진공 증착 공정’을 이용, 유기물질로 구성된 나노급 렌즈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대량 양산이 용이하면서도 저전력, 고명암비 패널을 ... ...
“간단한 구조물로 사막화 지역 녹지로 되돌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얻는다. 중화반응, 전기화학 등 실험을 소프트웨어로 간편히 설계할 수 있고
용액
의 농도와 시약의 양 등 다양한 변인을 조절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강순기 교사는 “이 장치는 스크래치를 통해 프로그래밍에 대해 모르는 학생이나 교사도 원하는 대로 실험장치를 ... ...
‘맞춤 생산’ 가능한 메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제작할 수 있다. 안정성 역시 크게 향상됐다. 330도 이상의 온도와 1% 과산화수소
용액
에서 2시간 이상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메타물질의 제조 공정과 함께 대량 생산에 사용될 소재를 개발했다. 기존에도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 ...
꺼지지 않는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 피워도 괜찮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17
보고도 속속 이어지고 있다. 데이비드 시켓 영국 버밍엄대 교수는 전자담배 전용
용액
에 포함된 유해 물질들이 가열돼 증기가 됐을 경우 세포 독성이 더 강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13일(현지 시간) 영국의학저널(BMJ)을 통해 밝혔다. 시켓 교수는 “결과적으로 인체 세포에 전자담배 증기를 가했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빨간약' 포비돈 요오드, 진짜로 만병통치약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일으켰기 때문이다. 요오드가 지금처럼 소독제의 대명사로 알려지게 된 건 혈장 대
용액
으로 개발된 합성 고분자화합물인 ‘포비돈’을 만나면서부터다. 포비돈은 요오드와 수소결합을 한다. 요오드를 단단히 붙잡고 있는 셈이다. 포비돈이 요오드를 천천히 방출하는 덕택에 요오드가 한꺼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늘었지만 숙신산
용액
을 먹을 생쥐들은 3그램 정도 느는 데 그쳤다. 그리고 숙신산
용액
을 먹은 생쥐들에게서 이렇다 할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사실 숙신산은 식품첨가물로 널리 쓰이고 있고(산도조절제) 사용량에 제한이 없는 GRAS(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보는 물질)로 분류돼 있다. 연간 ... ...
세포분자 전자현미경으로 장시간 관찰하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수 있어 전자현미경 관찰 시간을 연장하는데 성공했다. 세포는 액체가 대부분이라
용액
내에서 생체물질을 관찰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다. 그래닉 단장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물이 든 얇은 그래핀 주머니를 고안, 전자현미경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시료 건조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