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뉴스
"
정교
"(으)로 총 1,12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폐 손상 일으키는 면역반응 특성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대식세포에 의한 것임을 밝혀 중증 코로나19 환자에서 사용되는 면역억제 치료 전략을
정교
하게 만들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ˮ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설거지 도구로 쓸 수 있지만 바다수세미는 쓸모가 없다. 골격이 유리로 만들어진
정교
한 구조라 몸이나 그릇에 대고 문질렀다가는 부서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깊은 바다에서 유리해면은 잘 살아간다. 비록 유리이지만 독특한 골격 구조로 웬만한 힘을 견딜 수 있고 탄성도 꽤 있기 때문이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인체는 코로나19에 어떤 면역반응을 나타내나
2021.08.03
상황에서 성급히 도출된 오답을 교정할 수 있었다. 오랜 시간 축적된 기술력을 활용한
정교
한 연구기법 덕분이었다. 나아가 올바른 과학적 지식을 세계와 인류에 공유했다는 중요한 성과도 얻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건강한 사람의 T세포. 플리커 제공 ○ 코로나19 회복 후에도 1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교수는 “향후 몇 년간 더 많은 화성 지진이 수집되면 과학자들이 화성 모형을 더
정교
하게 다듬고 수수께끼들을 더 많이 밝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바이러스 검출 신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밝혔다. RNA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표준 진단방법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RT-PCR)으로
정교
한 온도 조절 장치가 필요하고 진단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온도 변환 과정 없이 동일한 온도에서 표적 바이러스의 RNA를 초고감도로 20분 이내에 검출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탐사 ETF 상반기 결산
2021.06.25
올라갔다. 3D 프린팅은 최근 우주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견인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교
한 3D 프린팅 기술과 첨단 소재기술을 결합하여 표준화된 인공위성과 부품, 발사체 로켓 등을 ‘찍어내는’ 연구와 실험이 전 세계 많은 기업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지금보다 훨씬 짧은 ... ...
믿을 수 없이 정밀한 해부도
팝뉴스
l
2021.06.17
미디어에서 최근 화제가 된 이미지다. 칠판에 사람의 해부도가 그려져있다. 놀랍도록
정교
하다. 예술의 경지다. 사람이 이렇게 정확하고 섬세하고 정밀하게 그림을 그리는 게 가능할까? 자신을 ‘아티스트’라 소개한 대만 남성의 작품이다. 한 네티즌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수준의 ... ...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때는 이보다 더 가볍게 만들 계획이다. 김기영 기계연 선임연구원은 “손가락은
정교
한 동작이 많아 이를 구현하기 위해 모터를 여러 개 달다 보니 로봇 의족보다 모터가 많이 달리고 무거워진다”며 “모터를 하나만 쓰는 대신 와이어를 이용해 손가락 마디의 굴곡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로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
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의 하나인 기계학습 모델을 도입해 원자의 구조 정보 분석의 정확도를 현미경만 사용하는 것보다 약 5배 끌어올렸다. 이를 통해 최근 2가지 물질의 구조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빛이 부족하면 눈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안구 성장이
정교
하게 조절되지 못해 근시가 된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있다. 다음으로 햇빛 스펙트럼 가운데 보랏빛 파장이 정상적인 안구 성장에 중요하다는 발견이다. ‘보남파초노주빨’ 무지개색에서 알 수 있듯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