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양
정수
정액
뉴스
"
정량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후유증 의외로 오래 간다
2020.09.15
9에서 살아남은 환자를 돌보는 지침이 필요하다”며 “환자 치료에 대한
정량
화를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50세 환자의 폐 스캔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빨간색)로 인한 손상이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되지만 많은 환자들이 지속적인 후유증을 겪는다. Prof. Gerlig Widmann, Dr. ... ...
NASA, 코로나19가 바꾼 지구촌 지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있다. 윤 연구원은 “봉쇄로 인한 활동 감소와 재개 결정에 따른 증가 등 변화를
정량
화한 도시 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구 어느 곳이 코로나19에 약할지를 찾기도 한다. 이희교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원은 율리아 겔 미국 텍사스대 수리과학부 교수팀과 ... ...
[프리미엄 리포트]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2020.09.12
것이라고 전망하는 이유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남극 대륙 전체의 빙하 변화를
정량
화해 해수면 상승을 예측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난센 빙붕에서 ‘빙산 C33’이 떨어져 나오는 모습이 아리랑 5호에 포착됐다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있다. 윤 연구원은 “봉쇄로 인한 활동 감소와 재개 결정에 따른 증가 등 변화를
정량
화한 도시 지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활동 감소가 코로나19를 억제하는 데 성공한 도시와 어떻게 일치하는지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구엘 로만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 연구원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그 뒤 외래종 유입이 이런 동식물 생태계 네트워크의 특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
적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인간의 환경 파괴가 심한 지역일수록 외래종 유입이 많았으며, 외래종 유입은 지난 75년간 7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별로는 큰 대륙보다는 태평양이나 대서양의 섬 ... ...
코로나19 중환자 급증…백신보다 치료제가 더 급하다
연합뉴스
l
2020.09.04
항체 생성률이 고르지 않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결합하는 고순도의 항체를 분리하고,
정량
화하는 기술이 없는 게 표준화된 혈장치료제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 바이러스 변이로 인한 실패 위험도 항체와 동일한 수준으로 높은 편이다. 바이러스가 변이되면 혈장 내의 주 치료성분인 항체도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대신 정확도가 높은 바이러스
정량
검사법인 유전자증폭검사(qPCR) 수준으로 정확도도 높았다. 장 교수는 “더 많은 공기를 뽑아들이는 농축장치 후속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며 “비슷한 구조와 크기를 지니고 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도 ... ...
왼손잡이, 손가락 촉각으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다르다는 사실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증강현실(AR) 등에서 사용되는 촉감제시장치의
정량
평가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안진웅 지능형로봇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촉각에 따라 활성화되는 뇌 부위를 관찰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 ...
각막신경 손상으로 생긴 안구건조증 레이저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말초신경계가 재생되는 최적의 광조사 조건을 찾아냈다. 이 과정에서 신경세포 재생의
정량
적 분석을 위해 형태학적 정보 분석법을 선별하고 적용했다. 정의헌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빛을 이용해 손상된 말초신경계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향후에는 각막절제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각 생물의 지느러미가 원래 조상이 갖고 있던 손의 형태에서 얼마나 오래 진화했는지를
정량
화했다. 그 결과 벙어리장갑 같은 지느러미를 가진 동물끼리도 진화의 양상이 달랐다. 바다거북의 지느러미는 수백만 년 진화 없이 형태를 유지했으나 몸이 동그랗고 듀공과 비슷한 포유류인 매너티의 뼈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