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뉴스
"
주입
"(으)로 총 1,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모든 피동 안전계통 기능이 상실될 경우에도 중대사고가 되지 않도록 노심 내 냉각수를
주입
하는 '충수 및 정화계통(MMPS)'과 격납용기 내부 충수를 수행하는 '정지냉각계통(SCS)'을 구비했다"고 밝혔다. 붕산 없이 제어봉만으로 노심을 제어하는 무붕산 노심 기술도 적용된다. 액체폐기물의 발생량을 ... ...
코로나19로 빛 본 'mRNA'...암 백신으로 다시 인류에 기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우구르 사힌 바이오엔테크 창업자는 "이론적으로 어떤 유전물질이든 우리 몸으로
주입
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이나 암 치료제는 물론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mRNA가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며 "신약 개발에 10년 이상 기간과 수천억~수조원의 비용이 들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혁신적인 변화를 ... ...
근위축증·수면병 치료제…올해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교정하는 치료법을 검증하고 있다. 연구팀은 새로운 단백질 세포를 환자에게
주입
하고 몇 달 동안 새로운 근육이 생성되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백신 접종자의 자궁경부암 검진과 관련한 임상시험도 진행된다. 인유두종바이러스(HPV) 백신을 많이 접종한 인구에서 1차 HPV 선별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표적세포를 용해하는 살상력이 높아졌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NgR1이 차단된 NK세포가
주입
된 생쥐는 일반 생쥐보다 암 발달이 감소하고 생존 기간도 늘어난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NgR1이 암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혔다. NgR1과 결합하는 면역억제 단백질인 Nogo A가 많이 ... ...
과학자가 분석한 중국 상황..."중국 백신 효능 떨어져 사망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중국에서 주로 접종이 이뤄진 중국 시노팜·시노백의 백신은 독성을 없앤 바이러스를
주입
해 체내에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불활성화 백신이다. 홍콩대 의대 연구팀은 지난해 3월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시노백 백신의 효능이 60.2%로 화이자 백신(88.2%)에 비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수 있는 실리콘 소재의 장기칩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체 생산도 토끼에 병원체를
주입
하는 방식 대신 외부에서 만드는 기술이나 축적된 연구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어내는 연구도 이뤄진다. ● 생태계에 꼭 필요한 그 자체로 귀중한 동물 토끼는 그 자체로 ... ...
종양을 유전자 교정해 암 사멸 유도...새로운 항암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GM-CSF)'의 분비를 촉진시켜 종양세포 사멸을 유도하도록 유전자를 교정한 뒤 다시 체내에
주입
하는 방식으로 항암 치료를 시도했다. 암 치료에 사용되는 인터페론 베타는 종양 사멸 역할을 하는 걸로 알려진 T림프구를 비롯해 B림프구, 수지상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에 면역 자극 효과가 있다. ... ...
결핵 mRNA백신·유전자가위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줄기세포를 채취하고 결함이 있는 유전자 부위를 교정한 뒤 다시 환자에게 세포를
주입
하는 형태로 치료한다. 지난해 관심이 집중됐던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에 대한 결과도 나온다. 1월 초 FDA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 승인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 초기 단계 ... ...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양상을 보였다. 동물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확인됐다. 세로토닌 수용체 돌연변이를
주입
한 쥐는 식욕 억제 역할을 하는 뉴런이 손상됐다. 식욕을 억제하지 못한 쥐는 쉽게 비만 상태가 됐다. 연구팀은 “CRCT1 유전자는 비만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며 “이 유전자의 ... ...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두번째 비행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구조여서 대량 생산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 발사 전 연료와 산화제를 수시간 동안
주입
해야 하는 액체 연료와 달리 신속하게 발사가 가능하다. 한국의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개발은 과거 고체연료 기반 발사체 사용을 제한해온 '한미 미사일 지침'이 2021년 5월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