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심장 '페이스메이커' 직접 공격한다
연합뉴스
l
2022.04.06
동방결절 손상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특히 이번에 개발한 '배아
줄기
세포 유래' 동방결절 세포가 대안적 치료법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 ...
일본서
줄기
세포 각막 이식…"일상생활 가능 시력회복"
연합뉴스
l
2022.04.05
니시다 교수 등 연구팀은 '각막상피간세포피폐증'에 걸린 30∼70대 환자 4명에게 인공만능
줄기
세포(iPS세포)로 만든 각막 조직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3년 전부터 진행해 왔다. 각막상피간세포피폐증은 안구의 가장 바깥에 있는 각막상피가 감염이나 약의 부작용 등으로 상처를 입어 각막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저항성 유전자를 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맥류줄녹병은 밀이나 보리의 잎과
줄기
에 노란색 줄무늬가 생기며 수확량이 떨어지는 병해로 녹병균의 한 종(학명 Puccinia striiformis)이 병원체다. 농약이 있음에도 내성이 생겨 잘 듣지 않으면서 맥류줄녹병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 ... ...
신경관 형태 그대로 구현한 척수 '오가노이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적용에 중요한 요소인 재현성과 정량성에 우수한 성과를 보임을 확인했다. 특히
줄기
세포 배양 기술, 최신 3차원 이미징 기술과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을 통해 고속대량 스크리닝 접목을 가능하게 했으며, 그 결과로 수천 개의 오가노이드에 대한 약물 반응성을 고속·고효율로 검증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더 가까워진 이종장기 시대
과학동아
l
2022.03.12
이종장기는 장기 부족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꼽힌다. 차세대 기술로 사람의
줄기
세포를 이용해 돼지에서 장기를 키우는 키메라 기술 등이 있지만, 상용화되기까지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종장기 시대에 가장 중요한 기술로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유전자 편집이 손꼽힌다. ... ...
T세포가 '혈액 세포'라고? 감염 조직 상주 T세포가 더 많다
연합뉴스
l
2022.03.10
본래 T세포가 피부 조직에 살아남았다는 걸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특징이 나타난 건
줄기
세포 치료를 받은 환자의 약 4분의 1에 그쳤다. 나머지 4분의 3은 기증자의 조혈모세포에 의해 면역계가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대체됐다는 뜻이다. 킬러 T세포가 계속해서 표적을 제거하려면 공격 무기인 ... ...
美 연구진, 생체 분자시계 돌려 중년 쥐 세포 회춘시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9
분자들이 노화로 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야마나카 인자를 이용해 유도만능
줄기
세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암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의식한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 혈액 세포 변화나 신경학적 변화가 나타난 쥐가 없었으며, 어떤 그룹에서도 암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 ...
숭례문 복원에도 쓰인 '금강송' 군락지까지 덮친 산불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있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8일 오후 1시 산불 현장지휘본부 브리핑에서 “지금 화선(불
줄기
)이 조금 소광리 소나무 군락지 능선으로 약간 넘어온 상태"라며 “초대형 헬기 2대 등을 더 투입해 금강송 군락지 확산 차단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방당국이 사수 작전에 돌입한 것은 금강송 ... ...
감염병 시대, 연구하는 '의사과학자' 양성 목소리 커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최근 25년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약 40%도 의사과학자로 알려져 있다. 유도만능
줄기
세포(iPS)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과학계에 따르면 매년 약 3000여명의 의사가 국내에서 배출되지만 2000년 이후 의사과학자의 길을 걷는 이는 매년 50명에 ... ...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이유…국내 연구진 첫 규명
연합뉴스
l
2022.03.03
두 지방 조직의 차이를 일으키는 것"이라며 "지방조직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줄기
세포의 특성 차이가 각 조직의 기능과 대사질환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최근 생물학 및 에너지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온라인판에 처음 공개됐고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