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도
도면
뉴스
"
지구도
"(으)로 총 7,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론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LID-568 블랙홀이 가스를 방출하며 주변 물질을 빠르게 흡수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 NOIRLab/NSF/AURA/J. da Silva/M. Zamani 제공 빅뱅이 일어나고 15억 년이 지난 초기 우주에서 이론적으로 예측된 한계보다 물질을 40배 빨리 '먹어 치우는' 초대질량(supermassive) 블랙홀이 사상 처음으로 발견됐다. 초기 우주에 ... ...
우주방사선 노출량 실측해 항공기 승무원 안전관리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오는 우주방사선은 대부분 지구 자기장 등에 막혀 지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고도가 높아지면 우주방사선 노출량이 많아져 항공기에 자주 탑승하는 승무원들은 우주방사선 피폭량이 일반인보다 많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반인보다 우주방사선에 많이 노출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전 일본 우주비행사였던 도이 다카오 일본 교토대 교수가 지난달 25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하며 목재 인공위성 리그노샛 모형을 들고 있다. REUTERS/Irene Wang/연합뉴스 제공 일본이 개발한 세계 최초 목재 인공위성 '리그노샛(LignoSat)'이 우주로 발사됐다. 나무로 만들어진 인공위성은 수명을 다하고 폐 ... ...
우주 240억km 날아가다 잠든 '보이저 1호' 깨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1977년에 발사된 탐사선 보이저 1호.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이 지구에서 240억km 떨어진 우주에서 통신이 끊겼던 탐사선 '보이저 1호'와 다시 교신하는 데 성공했다. NASA는 통신이 끊겼던 보이저 1호와 교신을 재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지난달 28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40여 년간 사용 ... ...
[동물do감] 체력 안배 위해 한밤 사냥 선호하는 웨델 물범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주로 남극에 서식하는 웨델 물범. Daniel Costa 제공 주로 남극 대륙에 서식하는 웨델 물범은 효과적으로 먹잇감을 찾기 위해 잠수 행동을 효율적으로 조절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웨델 물범은 체력이 회복되는 시간을 고려해 한낮과 한밤에 각각 얼마나 오래, 깊이 잠수할지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 ...
실험실에서 '원시 세포막'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지구 생명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는 '인지질 이중층'이라는 구조로 세포막을 형성해 외부와 세포 내부를 분리한다. 인지질은 인(P)에 지방산 꼬리가 2개 붙은 모양으로 꼬리 부분이 맞붙은 채로 두 개의 층을 형성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단순한 재료 물질로 '원시 세포막' ... ...
예술가가 '조망'한 과학적 순간…7번째 만나는 '아트인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관객이 음식 덮개를 올렸을 때 세포 그림을 조우하게 되는 작품(왼쪽)과 IBS 기후물리연구단의 데이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키네틱 작품. IBS 제공. 음식을 담은 용기의 덮개를 들어올릴 때면 맛있는 먹거리가 담겨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다. 음식 대신 미각을 세포로 시각화한 그림이 갑자기 ... ...
"과학수재만 참여하는 과학전람회?…일상의 호기심에서 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정호근 보성고 통합과학 교사가 지도하는 학생들이 전국과학전람회 출품작을 준비하고 있다. 정호근 교사 제공.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최대 규모 과학행사인 ‘전국과학전람회’가 올해 10월 70주년을 맞았다. 과학전람회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며 과학기술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의 과 ... ...
너무 작아 벼룩이라 불리는 개구리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새롭게 발견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개구리종 '브라키세팔루스 다니스'. 길이가 불과 6.95mm(밀리미터)에 불과한 신종 개구리가 발견됐다.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작은 척추동물이다. 학계는 "벼룩만큼 작다"고 표현했다. 30일 학계에 따르면 루이스 펠리페 톨레도 브라질 캄피나스대 교수 연구 ... ...
현지 전망 어두운데 NASA 달탐사 아르테미스 연구협약에 들뜬 한국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보름달. 미국의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미션'이 기술적인 문제 등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현지에서 나오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항공청(우주청)은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주도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미션'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