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
그릇
갑
케이스
부
권
도관
뉴스
"
통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20] 집골목: 유년의 추억이 빙그레 웃고 있는 곳
2017.09.02
해거름까지 재잘댔을까? 궁금했지만 알 수 없었다. 느닷없이 소식이 끊겨 내내 텅 빈 우체
통
처럼 이미 나는 그곳에 없었으니. ※ 편집자 주 [마음을 치는 시(詩)]와 [생활의 시선]에 연이어 윤병무 시인의 [때와 곳]을 연재합니다. 연재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과 장소’에 초점을 맞춘 또 ... ...
4차 산업혁명 시대,
통
계교육 방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토론회를 마치며 전·현직 교사, 교육관계자들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눴다. 앞으로의
통
계교육이 수학 교육의 일부가 아니라 국어, 사회, 수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진정한 학습 ‘도구’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해 본다 ... ...
사람 닮은 스키로봇, 국내 연구팀 세계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8
일본 캐나다 등에서 스키 타는 로봇을 실험적으로 개발한 적이 있지만 기문 사이를
통
과하는 기능은 갖추지 못했다. 연구진은 실제로 스키대회에 참여시키기 위해 다이애나를 개발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국내 로봇기술 홍보를 목적으로 평창 겨울올림픽 기간 중 로봇 스키대회인 ‘스키로봇 ... ...
위스키에 물을 타면 향이 더 좋아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8
과이어콜은 위스키의 스모키한 향을 내는 물질입니다. 위스키를 담아 숙성시키는 오크
통
에서 나와 위스키에 섞인다고 합니다. 토탄에 그을린 보리를 쓰는 스코틀랜드 방식 위스키에는 과이어콜이 조금 더 많이 생깁니다.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돌려 알코올과 물이 섞이는 과정을 분석한 ... ...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 3가지
과학동아
l
2017.08.12
현대인들의 자외선차단제 사랑은 유별납니다. 365일 맑을 때나 흐릴 때나, 어떨 때는 두 시간에 한 번씩도 바르곤 하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애용하는 자외선차단제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 ... 람버트 법칙(Beer-Lambert Law)log(초기 빛 강도/용액을
통
과한 빛의 강도) = 흡광계수 x 농도 x
통
과 ... ...
[사이언스 지식In]용가리과자 속 액체질소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환각제로 지정한 바 있습니다. 명확한 아산화질소 첨가 기준과 관리를
통
해 바리스타가 질소커피를 만들때 임의로 대량의 가스를 넣지않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오리엔테이션 열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08
어떤 작품으로 만들어질지 너무 기대된다”면서 “앞으로 직접 기획한 쓰레기
통
이 등산로 옆 물가에 설치되면 개구리와 수서곤충, 가재 등 물에 사는 동물들이 더욱 행복해질 것이다”며 당찬 포부를 밝혔다. 메이커 프로젝트는 아이디어 기획안을 중심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8월 말 중간 ... ...
[화보] 커피 테러 당하는 '토이 스토리' 우디
2017.06.29
되었다. 그런데 왜 하필 장난감을 선택했을까? 사람들이 그의 사진 속 이야기를
통
해 옛날 추억을 떠올리는 게 좋았기 때문이다. 상상력을 발휘해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사진을 찍는 것. 그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그의 꿈은 상상력이 풍부한 사진들을 계속 찍어 전시회를 여는 것이다. * 작가 ... ...
물고기가 격한 싸움을 할 때 내는 소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있다. 크레이그 레드퍼드 미국 오클랜드대 교수팀은 소리를 자동차 경적과 같은 교
통
신호 용도로 사용하는 종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실험생물학 저널’ 지난해 1월호에 발표했다. 뉴질랜드 근해에 사는 어종 ‘빅아이(Pempheris adspersa)’는 이동 과정에서 서로의 안부를 묻거나 무리에서 ... ...
[카드뉴스]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있습니다. 심부뇌자극술은 대뇌안쪽으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
해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합니다. 저장강박증도 결국 대뇌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결과입니다. 단순히 애지중지하는 물건을 모으는 정도를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저장강박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