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때 바이페린 단백질이 선천면역 기능을 통해 (체온을 낮춰) 인체를 방어하는 데
관여
할 가능성도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가설을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
2019.07.19
된다. 이들 숙련자들은 작업장비나 작업도구로 일을 하는 동안 암묵지의 형태로 일에
관여
하고, 이를 거의 의식하지 않는다. 이처럼 몸에 체화된 암묵지는 오랜 전승기간을 통해서만 경험의 형태로 이어질 수 있고, 때로는 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기준이 된다. 기업의 숙련자들과 ... ...
거식증은 유전적인 요인에 따른 '정신질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발견했다. 이 유전자들은 주로 정신질환인 우울증과 강박장애, 불안장애, 조현병에
관여
했다. 하지만 놀랍게도 비만이나 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신체질량지수)와는 관련이 없었다. 연구를 이끈 제롬 브린 영국국립보건연구원 생의학연구센터장(킹스칼리지 런던 정신의학, ... ...
[이정아의 미래병원]블록체인 손잡은 유전자 빅데이터, 해킹논란 잠재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다른 병을 하나씩 일으키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질병에 수많은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
할 수 있으므로 유전자의 기능을 밝혀내 발병률을 정확하게 밝히는 일은 쉽지 않다. 유전체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가 실현되려면 무엇보다도 빅데이터 수집이 절실하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사람 닮은 로봇을 보면 공포심 생기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매우 흡사한 것을 봤을 때는 오히려 억제됐다. 연구팀은 이 두 영역이 불쾌한 골짜기에
관여
한다고 봤다. 연구팀은 뇌에서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의 활성화도 관찰했다. 그 결과 사람에 따라 불쾌한 골짜기 현상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아스트리드 로젠탈 본데르푸텐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수 있도록 '염색질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 그런데 사람은 영장류에 비해 지질대사에
관여
하는 유전자와 그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는 프로모터, 증폭기 역할을 하는 인핸서 부분의 염색질 접근성이 떨어졌다. 사람은 체지방 비율, 특히 백색지방의 양이 많은데다 지방을 태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약물의 대사는 특정 박테리아의 존재나 밀도보다 대사에
관여
하는 효소의 양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8명의 분변 시료에서 얻은 장내미생물 배양액에 딜티아젬을 넣어 대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데스 테타이오타오미크론의 ... ...
DGIST에 도대체 무슨일이…전임 총장들부터 IBS연구단까지 비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이어졌지만 뚜렷한 혐의 입증이 차일피일 미뤄지다가 최근 당시 사업 및 협력연구에
관여
했던 일부 교수들을 대상으로 검찰 소환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 과학계에 대한 국민의 기본적인 신뢰마저 흔드는 대형 비리 의혹이 유독 DGIST를 중심으로 터지면서 과학계에서는 다양한 소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만들어진 뒤 떡잎에 축적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에 모두 여섯 가지 효소가
관여
한다. 두 유형의 아몬드에서 효소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생합성 과정의 첫 단계인 페닐알라닌을 페닐아세트알독심(phenylacetaldoxime)으로 바꿔주는 효소인 PdCYP79D16에서 큰 차이가 났다. 반면 효소 유전자 자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 희망 '비타민B6'
동아사이언스
l
2019.06.15
관여
하는 SHMT2-BRISC 단백질 복합체에 주목했다. SHMT2는 대사에 필수적인 단일 탄소 전달에
관여
하는 물질이다. BRISC와 반응해 결합하면 사이토카인 신호전달을 통해 염증을 촉진한다. 면역체계가 건강한 몸을 공격하도록 신호를 내리는 것이다.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연구팀은 이 복합체의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