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황
현실
스페셜
"
실제상황
"(으)로 총 94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전문가 "국내 코로나 상황 '바싹 마른 겨울 장작' 같아...잘 관리했지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유튜브 캡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일반인들은 백신을 맞으면 모든 게 정리될 것이라 생각하지만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는 것은 백신들의 생존 전략이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내 몇 안되는 바이러스 ... ...
0.5도차로 폐기위기 맞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당국 "문제없어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25일 오전 청주시 상당보건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실은 냉동탑차가 도착, 관계자가 냉동탑차 문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제주도 이송과정에서 적정 보관온도 범위를 벗어나 회수된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이 폐 ... ...
[백신 업데이트]‘1호 접종’ 아스트라제네카, 코백스 공급 화이자 백신 효과 어떤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24일 오전 경북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처음 출하됐다. 연합뉴스 제공 24일 오전 경북 안동 SK바이오사이언스 공장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이 처음 출하되며 국내 백신 접종을 위한 대장정이 시작 ... ...
"백신 중증 부작용 인한 사망자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장(가운데)과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왼쪽),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24일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예방접종 특집 브리핑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브리핑 캡쳐 이달 26일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 ... ...
코로나19 백신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코로나19 백신 안전유통을 위한 부처합동 모의훈련이 실시된 지난 3일 오후 백신 수송 훈련 차량이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예방접종센터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여러 종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이 전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접종되고 있지만 어떤 백신 ... ...
[랩큐멘터리] 실감형 기술의 마지막 퍼즐 '촉감'을 구현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같은 기술이 개발되면서 컴퓨터가 만든 세상을 실감나게 느끼는 시대가 점차 가까워져 오고 있다. 그러나 눈과 귀는 점차 즐거워지고 있지만, 물리적인 감각을 느끼는 부분은 여전히 부족하다. 컴퓨터가 사람의 오감을 자극하며 콘텐츠를 오롯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 ...
'화이자냐 아스트라제네카냐'…영국서 백신 접종 눈치작전
연합뉴스
l
2021.02.22
'효과 좋은 화이자 맞겠다' VS '영국 백신 아스트라제네카 선호' 접종자에 선택권 없지만 '편법'도 성행…백신 부족 사태 속 '배부른 고민' 지적도 [연합뉴스TV 제공]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 ...
코로나 접촉 위험 알림 서비스 뒤에 ‘철옹성’ 암호 기술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경기도와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과 자신의 동선을 비교해 접촉 가능성과 접촉 횟수, 접촉 시간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코로나 동선 안심이’를 이달 8일 공개했다. GIB 제공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박성흠 부경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CMOS 이미지 센서용 근적외선 차단 필터를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했을 뿐 아니라 성능을 더 향상시켰다. 남윤중 제공 길을 걷다가 눈앞에 멋진 풍경이 펼쳐지면 저절로 스마트폰이나 카메라를 들어 올린다. 하지만 사진에 담긴 풍경은 눈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오늘날 재배 벼가 탄생하기 까지는 수천 년에 걸친 야생 벼 작물화 과정이 있었다. 앞으로는 게놈편집기술이 야생 벼를 짧은 시간안에 작물로 변신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초의 농경사회 이후 등장한 새로운 농기구는 모두 목적이 똑같았다. 사람의 힘을 덜 들이고 땅에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