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스페셜
"
약간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유럽과 중동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에 비해 눈 위 뼈의 돌출 정도가 덜하고 두개골 두께도
약간
얇다는 것이다. 납작하고 옆으로 넓은 두개골 형태도 네안데르탈인에서 좀 벗어났다. 그렇다고 새로운 학명을 붙이기에는 무리가 있는 게 두개골 외에는 얼굴뼈도 턱뼈도 없고 골격을 이루는 뼈도 나오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과연 열 가지에 뽑힐 연구인가?’라는 의문이 든 성과가 하나 있었다. 바로 유인원의
약간
수준 높은 ‘마음의 이론’에 대한 발견이다. 마음의 이론은 말 그대로 상대의 마음(생각)을 유추해 그에 맞춰 대응하는 능력이다. 그런데 유인원은 상대가 ‘틀린 믿음을 갖고 있을 경우 객관적 사실이 ... ...
[사이언스 지식인] 구제역 O형과 A형, 혈액형 같은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11
단백질의 혈청형은 같으나 유전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VP1 단백질의 구조가
약간
달라질 수 있어 사용하는 백신이 계획처럼 100% 구제역을 예방하지는 못하지요.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
2016.12.22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몇 가지 안전 수칙이 눈에 띄네요. 그런데 여기서
약간
의문이 듭니다. 맨 먼저 “국민 여러분 지켜주세요”라면서, 축산농가 관계자가 아닌 저같은 일반 사람에게 당부하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조류독감 전파를 막도록 국민이 지켜야 할 첫 번째 안전수칙이다.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
2016.12.21
사백신으로 할지, 생백신으로 할지 선택하게 합니다. 백신의 종류에 따라 주사 효과가
약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듣고 원하는 쪽으로 선택하라는 뜻이지요. 두 백신은 모두 바이러스에서 독감을 일으키는 ‘고병원성’ 성질을 제거하고 예방주사로 만듭니다. 사독 백신은 체내에서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요즘 회자되는 가속팽창하는 우주와 동일했다"며 "우주공간의 성질이 외부에서 가한
약간
의 변화에 어마어마하게 변하는 결과는 찾기 힘들 것이라 많은 학자들에게 각광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우주공간은 어떤 방식으로 자르면 팽창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른 방식으로 자르면 휘어져 보이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설명했다. 끝으로 냄새강도 항목에서 아니스향과 딸기향에 대해 캐나다인들이
약간
더 강하다고 평가했고 나머지는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은 “이건 ooo냄새입니다”라며 정보를 주고 유리병을 코 밑에 제시한다. 그 결과 앞 실험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냄새 정보가 냄새 지각에 큰 영향을 준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따르면 미세아교세포는 주로 시냅스를 먹어치운다. 따라서 메치니코프의 서술을
약간
바꿔 “뇌가 줄어드는 건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파괴하기 때문”이라고 쓰면 최신 연구결과를 요약한 글이 된다! 물론 노화와 신경퇴행성질환이 항상 연결된 건 아니다. 미세아교세포는 사방으로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다중초점렌즈 안경을 맞춰야 할 것이다. 근시는 대부분 10대 시절 안구가 앞뒤로
약간
길쭉하게 변형돼 초점거리보다 뒤에 망막이 놓이면서 나타난다(위). 이때 지나친 실내생활로 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게 주원인으로 여겨진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근시가 만연해있다. 아래는 연도별로 2 ... ...
표범의 추억
2016.11.08
교수와 통화를 하게 됐다. “그런데 왜 표범은 안 하셨죠?” “시료를 구하지 못해서...”
약간
뜻밖의 대답을 듣고 ‘동물원의 표범들은 다 아프리카에서 온 것들인가...’하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 아무르호랑이의 게놈을 해독했는데 아무르표범(한반도를 포함해 동북아시아에 분포한 아종)이어야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