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지"(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3.07.04
- 리서치사 나노마켓(NanoMarkets)에 따르면 ITO를 사용하는 가공 조립산업(OLED 조명, 박막 태양전지, 스마트창문)의 규모확장으로 ITO 대체 투명전도막(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의 시장규모가 2016년 9억 2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교수는 최근 3년 동안 Nature Communications (2013), Nature ... ...
- 2015년까지 국산 PET, SPECT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3
- 소재는 방사선 우주망원경과 기존 소재보다 태양 파장대와 잘 맞아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에 활용 가능하며, 기타 100가지 넘는 소량 다품종의 고부가가치 제품의 창출이 가능해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신산업, 신시장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장호 한국원자력연구원 ... ...
- [INNOPOLIS] 특구기술사업화 신규과제 73건, 214억원 지원동아사이언스 l2013.06.28
- ㆍIT 융복합 ㆍ바이오 의약 ㆍ나노융복합 ㆍ신재생에너지 ㆍ광기반 융복합 ㆍ차세대전지 ㆍ친환경자동차 부품소재 ㆍ스마트케어가전 ㆍ스마트IT 융합기기 ㆍ의료용 융복합기기 ㆍ그린에너지 융복합 ㆍ메카트로닉스 융복합 ㆍ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ㆍ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 ...
- 리튬이온의 이동속도가 빠른 젤리 형태 전해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6.28
- and single-ion-predominant conduction) 송현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소니가 리튬 이차전지를 개발한 이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던 액체 전해질에서 탈피한 새로운 도전으로, 향후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를 활성화시킬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 ...
- 전동기의 시초, 호모폴라 전동기 만들기KISTI l2013.06.26
- 힘은 시계 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흐를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전지의 (+)극과 (-)극을 반대로 실험하면 철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렇듯 전류가 만든 자기장과 자석이 만든 자기장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실험에서처럼 자기장 내에 위치한 구리 철사에 전류가 ... ...
- 무촉매, 무패턴 나노선 대면적 합성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6.11
-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조무제) 최경진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화합물 반도체(III-V 반도체) 나노선을 이용한 웨이퍼 스케일의 대면적 합성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최경진 ... 보도자료입니다. 실리콘 기판/InAsP 나노선 이종접합 구조 신개념 태양전지 제작 - 미래창조과학부 ... ...
- 나노로드 구조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5.31
- 보다 효율적인 나노구조체와 유무기복합 광흡수체를 이용할 경우 15% 이상의 고효율 태양전지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 휘어지는 투명 유기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5.30
- 이 높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져 기존 실리콘과 금속 전극을 대체하여 향후 휘어지는 태양전지 및 투명전극체 등 새로운 유기반도체 소자 시장 개척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 국내 최초 암모니아로 달리는 친환경 자동차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5.28
- 부품을 적용하는 것으로 주행이 가능하므로, 엔진 시스템 전체를 바꿔야 하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 비해 실용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연료로 사용하는 암모니아는 가솔린에 비해 폭발성이 현저히 낮고 수소에 비해 수송과 저장도 용이하여 향후 수송연료로서의 발전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 ...
- 3단계급 태양입자 유입 상황 발생동아사이언스 l2013.05.26
- 최대 2시간까지 증가할 수 있어 승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또한 인공위성에는 태양전지판 손상 등의 고에너지 입자 피폭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위성관리기관은 위성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 앞으로 우주전파센터는 태양방출 물질이 지구를 완전히 통과할 것으로 예측되는 5월 2 ... ...
이전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