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탓"(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만다. 또는 현실과 생각 속 괴리를 메우기 위해, 내가 잘못한 게 아니라 다른 사람 탓이라며 책임을 돌리는 등의 합리화에 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더 멋지고 잘난 사람이 되려고 애쓰거나 자신을 좋게 바라보려 애쓰기보다, 인생은 누구에게나 어렵기 마련이며 따라서 넘어져도 괜찮다고, 힘든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받음 6) 일이 잘못됐을 때는 그걸 자신의 능력/자질 부족, 자기 성격이 이상한 탓이라며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임.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검열하며 평가하는 한 99가 괜찮아도 단 하나가 이상하다면 그 하나를 가지고 자신을 때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완벽한 사람이 되고 싶어할수록, 더 잘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사회의 문제로 꼽힌다. 국제 사회에서 북한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식량 원조가 줄어든 탓에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2015년 기준 북한의 곡물자급률은 70~80%에 이른다. 1960년대 90%였던 남한의 곡물자급률은 현재 24% 수준이다. 그간 김일성 정권은 옥수수, 김정일 정권은 감자로 식량부족 문제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보였다. 연구자들은 혼자의 힘으로 어떻게 바꿀 수 없는 구조적 불평등의 존재를 알고 그 탓을 하는 것보다, 어떻게든 내가 열심히 하면 다 잘 될 거라고 믿는 것이 심리적으로 큰 ‘위안’을 가져오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실력주의적 믿음은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을 (사회가 뒤바뀌지 않는 한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역사’는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1000만 권 넘게 팔렸다. 하지만 어려운 내용 탓인지 오늘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못한 자존감 추구법’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다. 나는 잘못하지 않았다며 무조건 남 탓 하기(예, 내가 부족한 게 아니라 시험 문제가 이상한 것 등), 실패할 것 같은 일은 시도도 하지 않기, 실패할 경우 애초에 별로 중요한 일이 아니었다며 일의 중요성을 평가절하하는 것 등이 흔히 나타나는 자존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고함을 친 적이 있다. - 비판적이고 자신감을 꺾는다. - 자신의 공격적인 행동이 내 탓이라고 이야기한다. - 나를 같은 한 사람이라기보다 소유물, 성적 도구로 여긴다. - 나나 내 주위 사람들을 다치게 하겠다고 협박한 적이 있다. - 원치 않은 성관계를 요구한 적이 있다. - 물건을 잘 부순다. - 의심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et al., 2011). GIB 제공 피해자도 뭔가 잘못했겠지 성폭력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의 탓이라고 보는 사람들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성차별의식이다. 일례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따로 정해져있으며 여성의 역할은 조신하게 정서적, 성적으로 남성에게 봉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 ...
- 민간 최초 심(深)우주 탐사용 로켓 ‘팰컨 헤비’ 발사 성공…1단 로켓 3기 중 2기 회수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이번 첫 발사는 팰컨헤비의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발사다. 강한 바람 등 기상조건 탓에 예정된 시각보다 2시간 15분가량 늦어지긴 했지만, 발사 후 1단의 재사용 로켓 3개 중 2개를 지상기지에서 동시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해상 착륙을 하도록 설계된 나머지 하나는 착륙하지 못하고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숙련 목표를 강하게 보이는 사람들은 실패를 마주했을 때 실패 사실을 부정하거나 남탓을 하는 등의 방어적인 태도 또한 덜 보이며, 성과목표를 중시하는 사람들에 비해 실패를 통해 더 많은 성장을 이뤄내기도 한다. 그 결과 일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해서 쉽게 무너지지 않으며 쭉 늘어났다가도 다시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