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7,466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11
누슬라인-볼하르트 이후 여성으로서 9년 만에 노벨 의학상을 받아 여성 과학자의 명
예
를 드높였다.냄새를 맡는 메커니즘냄새 분자가 자신과 맞는 후각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수용체는 이 신호를 후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냄새 분자는 여러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기도 하는데 이때 뇌는 여러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탄소나노튜브가 2차 트랜스듀서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예
를 들어 탄저균의 특정 DNA에 상보적인 DNA가닥을 붙인 탄소나노튜브는 탄저균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 ...
2156년 올림픽 여자가 남자보다 빠를까
과학동아
l
200411
지구성 운동의 훈련 방법이 남자에게만 맞춰져 있어 여자가 불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예
를 들어 마라톤 선수는 경기 며칠 전부터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집중적으로 먹는다. 탄수화물을 분해해 만든 글리코겐을 몸 안에 최대한 많이 쌓기 위해서다. 그러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표현할 수 있다면 잡티를 없애거나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는게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예
들 들어 얼굴사진을 스캐닝하고서 얼굴의 윤곽 높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이는 연속적인 함수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사진에 손상된 부분이 있다면 이곳에서 연속함수가 끊기게 된다. 이때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당연히 고리형태의 분자 5개가 필요하다.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초분자의 대표적인
예
로 막대형태의 분자와 고리형태의 분자가 합체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고리분자가 막대분자 위를 셔틀처럼 움직인다. 즉 막대분자에 서로 화학적 성질이 다른 정거장을 만들면 고리분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면역계. 집단을 이룬 곤충의 생태를 컴퓨터에 응용하면 고차원 지능을 만들 수 있다.
예
컨대 개미집단이 협력을 통해 계획, 분류, 의사결정, 최적화하는 것을 이용한 나노로봇, 집단로봇과 면역체계를 응용해 만든 컴퓨터 바이러스 탐지체계가 좋은 사례다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11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로써 다윈의 진화론은 사회에까지 통용되는 법칙으로 해석됐다.
예
를 들어 영국의 사상가 허버트 스펜서는 적자생존을 위한 개인들 간의 극한투쟁을 사회 진보의 원리라고 주장하는 ‘사회 다윈주의’를 주장했다. 또 다윈의 이론은 인종 차별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 ...
왜 고막만 알아주는 거야? 귓속뼈
과학동아
l
200411
코와 연결된 약 36mm 길이의 유스타키오관이 있어 대기압과 고막 안쪽의 압력을 조절한다.
예
를 들어 높은 곳에 올라가면 귀가 멍멍해진다. 이때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면 코로 연결된 유스타키오관이 열리면서 대기압과 고막 안쪽의 압력이 같아져 귀가 멍멍한 것이 없어진다.히스타키오관(hystachian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이공계를 기피하는 일이 안타깝기만 하다. 고생을 많이 했지만 충분한 부와 명
예
를 얻은 자신의 길을 들려주고 싶어 한다. 과학의 길이 당장은 험난해도 미래에는 다른 어떤 분야를 택한 것보다 값진 열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진 장관은 청소년을 한 마디로 표현해달라는 질문에 ‘가공하지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10
리보솜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낸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 아다 요나드 박사와 미
예
일대 톰 스타이츠 박사 연구팀도 향후 노벨상을 기대할 만하다고 학계는 평가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일은 그만큼 어렵고도 중요하다.연구실을 이끄는 이지오 교수는 “약 자체의 구조는알지만 약이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