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코·귀의 기능을 기막히게 향상시킨 첨단의 센서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일을 하는 센서들은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 등이 있다.센서가 변환하는 능력은
꼭
비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 변환관계를 그대로 이용하기는 어렵고 그 내용을 판단할 장치가 필요하다. 그 장치를 임시로 판단장치라 하자.다시 인간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잔돈을 계산하는 일은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3주된 새끼들은 일광욕을 하기 위해 보금자리로부터 나온다. 이 때 암·수중 한 마리는
꼭
새끼들을 감시한다. 1개월이 경과된 새끼에게 어미는 씹어먹었던 고기를 토해서 먹인다. 육식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어린 새끼들은 5~6개월이나 젖을 빨아먹지만 생후 45~60일만 되면 토기의 뼈를 깨뜨릴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얼마나 심한가, 주위 다른 조직의 합병증은 없는가, 얼마나 증상이 심한가에 따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수술을 권하게 된다. 따라서 무조건 수술은 싫다거나 또는 무조건 수술을 해달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것은 좋지 않다.'아데노이드'라는 이야기를 들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아데노이드, 즉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처음에 안경을 만들때 먼저 안과에 가서 진찰을 받고 처방전을 받아 안경을 만드는것이
꼭
필요하다. 그리고 그 다음이 특히 중요한데 안경을 가지고 다시 안과에 가 처방전대로 되어있는가 어떤가 다시 진찰을 받는것이다. 당연한 것인데도 이것이 좀처럼 잘 되지 않는다.안경기술은 전문직이지만 ... ...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집중력이 강하다해도 상대 투수는 그때마다 바뀌고 구장도 달라진다. 자신의 컨디션이
꼭
같지 않듯 일기도 같은 날이 없다. 주위의 환경변화를 상대로 하고있는 것이 야구선수다. 그래서 '모든 상황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집중력을 강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감기로 열이 40도까지 올라갔는데도 ... ...
컴퓨터 조기교육을 제대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관한 교육을 지칭한다. 그런데 컴퓨터에 관한 교육중에서도 일반인들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사항들만을 가르치는 것을 '컴퓨터 문맹탈피 교육' 혹은 '컴퓨터 일깨우기 교육'이라 불리운다. 그러므로 컴퓨터 일깨우기 교육은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 기능 태도 등을 ... ...
성취를 향한 힘찬 발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기다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라는 글과 함께……나는 마음 속으로 "감사합니다.
꼭
성취하겠읍니다"하고 다짐했다.어느날 컴퓨터 잡지를 넘기다가 S 전자에서 소프트웨어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컴퓨터에 관해선 스스로 실력자라고 일컫던 나는 자신의 실력을 평가해 볼 ... ...
대폭발(BigBang)과 「거품」이론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이와같은 추론들은 아무런 실용적 가치가 없는 탁상공론으로 들리지도 모른다.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일찌기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질량(m)과 에너지(E)의 등가원리를 E=mC²(C는 광속)이라는 식을 통해 밝힌바 있다.즉 앞에서 논의했던 에너지를 질량을 가진 물질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 ...
청소년·부모 모두 알아두자 자살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알아차려 자살을 막아주었으면 하는 몸부림을 치는 것이다.둘째는 '자살하는 사람들은
꼭
죽고야 말겠다는 확고한 결단을 내린 사람들이다'라는 말이다. 이것도 틀린 말이다. 그들의 대부분은 생사(生死) 양단간을 분명히 정하지 못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래서 혹시 누군가에 의해 또는 어떤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없다. 우리 몸의 질병은 자물쇠에 해당한다. 이 질병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생명현상에
꼭
맞는 약(열쇠)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단순한 물질을 창조해내는 화학도 어려운데…. 하물며 생명현상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약)을 설계하는 일은 얼마나 까다로운 일이겠는가?생명과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