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의 록 밴드 ‘이글스 오브 데스 메탈’의 공연이 한창이던 파리 11구역의 바타클랑 콘서트홀. 폭스바겐 폴로 차량에서 3명의 괴한이 내렸다. AK-47 소총으로 무장한 이들은 공연장을 급습해 80명이 넘는 이들을 살해했다. 경찰 특공대가 들이닥치자 테러범들은 벨트에 찬 폭탄을 터뜨려 스스로 목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안성천 다리 밑이라….’ 다리 밑에서 만나자니. 무슨 밀수 현장도 아니고…. 이런 장소에서 취재원을 만나기로 한 건 처음이었다. 주소도 없었다. 내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보니 ‘안성천교’라는 이름을 가진 다리가 무려 네 개였다. 취재원으로부터 위성사진이 담긴 지도를 받았다. 다행히 내비 ... ...
- 외로움의 허기를 무엇으로 달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외로움은 배고픔과 같다’는 말이 있다. 만약 우리가 배고픔을 느끼지 않는다면 굳이 음식을 찾아먹지 않을 것이고, 음식을 먹지 않으면 영양실조로 굶어 죽게 될 것이다. 배고픔은 우리에게 에너지를 섭취하라고 보내는 신호다. 외로움도 우리에게 다른 사람을 만나라는 신호다. 인간은 다른 이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제주도 앞바다에는 수많은 돌고래가 살고 있어요. 제주도 해안도로를 따라 달릴 때 운이 좋으면 무리를 지어 바다를 뛰노는 돌고래를 볼 수도 있답니다. 이 돌고래들 중에는 수족관에서 돌고래 공연을 하던 남방큰돌고래 세 마리가 있을 수도 있어요. 이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요?삼팔이, 바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여기 기상천외한 장이 열렸소. 품목은 바로 먼지! 봉이 김선달이 특별히 엄선한 먼지들로 준비했으니 쓸모없고 해롭다고만 생각지 말고, 일단 와서 준비된 먼지들을 보길 바라오. 금세 매진될 것 같다고 하니 관심 있는 자들은 봉이 김선달의 설명을 잘 듣고 원하는 먼지를 꼭 살 수 있길 바라오!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지난 11월 브라운아이드걸스의 6집 ‘BASIC’이 나왔다. 재미있게도 이번 앨범은 곡명이 대부분 신의 입자, 웜홀, 아토믹, 프랙탈처럼 물리학·수학 용어다. 제작자는 “세상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했다”면서 “우주의 본질을 알아가는 데 필요한 과학적인 키워드를 사람의 감정에 빗대어 가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수학계의 새로운 별 라마누잔이 나타났다!1913년 1월 16일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는 인도에서 편지 한 통을 받는다. 하디가 받은 편지는 인도의 23살 사무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의 것이었다. 편지에는 라마누잔의 간단한 소개와 라마누잔 자신의 직관과 통찰만으로 논리적 증명 없이 써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수학 배우면 어디에 써요?” 수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하는 질문 1순위. 그러나 이 질문에 시원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지난 달 이 질문에 속 시원한 답을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수학으로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산업을 만드는 사례를 발표하는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디지털의 위협이던 양자 중첩, 새로운 기대주로컴퓨터의 역사에서 양자 중첩이 처음부터 환영을받았던 것은 아니다. 과거부터 공학자들의 목표는 ‘초소형화’였다. 그러나 그릇이 너무 작아지다 보니 양자역학의 세계로 들어왔고, 불확정성 원리를 만나게 됐다. 이는 컴퓨터가 0과 1을 제대로 구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001년 미국에서 9·11 테러가 일어나기 전까지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테러는 남의 일이었다. 하지만 9·11 이후 미국에서는 다시 탄저균 테러가 일어났고, 영국에서도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네덜란드에서도 반(反)이민 정책을 추진하던 정치인이 살해당하는 등 잇따라 크고 작은 테러가 발생하면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