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충격량을 늘리는 방법 밖엔 없다.하지만 로봇의 몸무게가 늘수록 움직이는데 필요한
에너지
와 힘은 함께 늘어나게 된다. 또 태권V가 자유롭게 날아다니려면 추진체와 유선형 몸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비행할 때 양력을 얻기 위한 일체형 구조로 변신해야 한다.따라서 적 로봇의 다양한 공격을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태양전지와 저전력 냉음극램프, 축전지를 조합한 가로등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태양
에너지
를 사용해 밤에 필요한 최소한의 밝기를 확보하는 한편 광섬유를 이용해 조명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줄인 것이다.나고야 시는 가로등의 조명기구만 교체해 광공해를 유발하는 ... ...
과학으로 미래를 내다본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판매에 부정적인 요인이 된다. 회사에서 실시하는 프로모션이나 가격인하, 정부의
에너지
절감정책도 판매요인이 된다. 이런 요인과 Y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해서 요인별 가중치를 구해 판매량을 예측하는 수학식을 개발한다.이처럼 어떤 변수가 여러 가지 요인을 갖고 이에 해당되는 확률값이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들어가는 적절한 투자비용의 균형점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산유국 꿈꾸는 북한만성
에너지
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도 산유국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자본은 오래 전부터 북한 석유에 관심을 보여 왔다.최근 유력한 석유 매장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는 서한만(지도 참조) 일대는 넓은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메가와트일은 원래
에너지
크기의 단위로 1메가와트(106W)로 1일(24h) 동안 발생하는
에너지
의 양을 표시한다 영장목 사람과의 화석인류 네덜란드의 인류학자인 G H R 쾨니히스발트가 자바섬 중부에 있는 상기란 유적의 제티스층에서 발견했다지질연대상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한다1939년에 아래턱 파편과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필요한 것을 효율적으로 생산한다생체의 이런 과정을 외부장치에 적용시키면 자원과
에너지
를 절약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생산을 할 수 있다 항생물질의 하나 1951년 A C 핀레이 팀이 방선균(放線菌)인 스트랩토마이세스속의 배양액에서 얻은 수용성 염기성(水溶性鹽基性) 펠티드 항생물질이다 결핵균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연료무게, 소음과 배기도 큰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소형원자로, 핵융합 등 새로운
에너지
기술이 이용될 것이다. 거대로봇의 겉모습은 어떻게 바뀔까. 먼저 이동성에 근거해 바퀴굴림형과 다족보행형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은 바퀴형으로 개발될 것이다. 그러나 바퀴로 접근이 어려운 45도 이상의 ... ...
에너지
네 능력을 보여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이번 겨울에는 평년보다 매서운 추위가 계속되고 있어요. 그래서 난방에 사용된 전력이 폭발적으로 치솟고,
에너지
절약을 외치는 목소리도 높았지요. 그렇다면
에너지
는 무엇 ... 필요해요. 여기서 과거와 현재에 사용하던
에너지
그리고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에너지
를 살펴볼까요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높다.미국인의
에너지
구성비는 탄수화물 50.4%, 지방33.1%, 단백질 15.2%로 나타났다. 즉
에너지
구성비로 비교해볼 때 한국인과 미국인은 단백질 섭취량은 비슷하나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지방 섭취량이 낮고 탄수화물 섭취량은 높다.우리나라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가 처음 시작된 1969년에는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관심사였다. 김 교수는 풀러렌 분자가 레이저를 흡수해 들뜬 상태가 된 뒤 1.2나노초 만에
에너지
를 방출하고 다시 원래의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낸다는 사실을 밝혔다.1995년부터 김 교수는 ‘스피드’를 높였다. 나노에서 피코, 펨토까지 수년 새 시간을 100만배나 단축했다. 1997년 ... ...
이전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