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로젝트"(으)로 총 3,7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줄기세포 분화촉진법 서울대 연구팀 첫 개발동아일보 l2014.01.08
- 달리한 ‘천재 나노과학자’ 서갑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당시 41세)의 마지막 프로젝트여서 더욱 눈길을 끌었다. 이번 연구에서 서 교수는 인간의 피부조직을 닮은 나노지지체 개발을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9일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 ... ...
- 무너지지 않는 아성 ‘이기적 유전자’동아사이언스 l2014.01.05
- 한 사람으로 꼽히는 정재승 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는 ‘백인천 프로젝트’(백인천 프로젝트 팀著, 사이언스북스刊)로 트위터를 통한 대중 과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 장하석 영국 케임브리지대 과학철학과 석좌교수는 ‘온도계의 철학’(장하석著, 동아시아刊)으로 과학과 인문학의 ... ...
- 컴퓨터, 이제는 신발에 달고 뛰자과학동아 l2013.12.30
- 측정하는 판을 삽입한 시도가 있었지만, 기술이 정밀하지 않아 상용화되지 않았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안드레아 헤이니그 박사는 “뛰는 자세가 나쁘면 통증이나 심하면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스마트 러닝화가 이를 미리 막아준다”며 “센서 기술이 상당히 발전했기 때문에 2년 안에는 ... ...
- 中우주기술 수준에, 할리우드도 놀랐다동아사이언스 l2013.12.30
- 구축하기 위해서다. 장쩌민 전 주석 재임시절인 1990년대 초부터 ‘유인 우주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해 꾸준히 유인우주선을 발사했고, 현재 우주 임무수행 경험을 가진 우주인만 10명을 확보한 상태다. 앞으로 중국 정부는 선저우 10호를 끝으로 톈궁 1호를 폐기하고, 성능이 개선된 톈궁 ... ...
- "연구현장도 협동조합 개념 도입해 연구안정성 보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12.29
- 인건비를 내가 부담하고 필요한 실험 부분만 요청하는 것이다. 즉, 연구원이 어느 한 프로젝트에만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실험실을 오가면서 자신이 보유한 기술을 제공한다는 말이다. 나는 이를 ‘과학기술 테크니션 공유 협동조합’이라고 이름 붙였다.” - 이 시스템의 장점은 어떤 것인가. ... ...
- 태양계 벗어나 외계인과 조우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12.29
-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공간에 들어섰다”고 올해 9월 12일 공식 발표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책임자 에드 스톤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도 “보이저 1호가 태양권을 벗어났다”며 “인류의 역사적인 도약의 순간”이라고 감회를 밝혔다. 태양권은 태양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대 범위로, ... ...
- 구글 또 로봇업체 인수… 6개월간 8번째동아일보 l2013.12.17
- NYT 기사를 링크하면서 “미래가 멋져 보인다”는 짤막한 글을 올렸다. 앞서 그는 “로봇 프로젝트가 지금은 무모하게 들려도 달나라 탐험처럼 시간문제일 뿐이다. 10년 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로봇업체 인수 배경에 여러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NYT는 구글이 공장에서 만든 ... ...
- 中, 美-러 이어 세번째 달 안착… ‘옥토끼’ 표면사진 보내와동아일보 l2013.12.16
- 단계는 달 착륙 이후 지구로 귀환하는 것. 또 중국은 2030년 이전 완성을 목표로 화성 탐사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8년 전후로 다시 화성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중국은 2011년 화성 탐사선인 ‘잉훠(螢火·반딧불이라는 뜻) 1호’를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베이징=이헌진 특파원 mungchii@donga.com ...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발명왕 의사선생님’ 이희영 박사동아일보 l2013.12.16
- 2011년엔 40억 원짜리 서울시 전략과제인 ‘지방줄기세포 자동 분리 및 배양 장치’ 프로젝트를 따낼 수 있었다. 이 박사는 눈매 교정이란 ‘신천지’도 열었다. 눈을 예쁘게 하려면 쌍꺼풀 수술밖에 없었는데 눈 모양을 잘 잡아주는 눈매 교정 기술을 개발했다. 처음엔 “그게 무슨 수술이냐”며 ... ...
- 연구개발 과제 심사요? 그 밥에 그 나물이죠동아사이언스 l2013.12.11
- 알고 있지만 기업 만큼 목숨 걸고 하지는 않지 않습니까. 국내 공과대 교수들이 연구개발 프로젝트 과제를 보는 시각은 말 그대로 ‘연구비’에 그치지만 기업의 시각에서 보면 ‘목숨’과도 같습니다. 과제를 잘 따오는 교수들이 좋은 대우를 받는 학계 풍토도 문제이지만 기술사업화나 상용화에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