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08
36%의 사람이 아무 냄새도 느끼지 못했다”고 1976년 ‘케미컬센스’(Chemical Senses) 저널에
발표
했다. 맥아는 맥주의 원료가 되는 보리 낟알로 시큼한 냄새를 내는 ‘이소부틸알데히드’((CH3)2CHCHO)가 주성분이다.르네이비인후과 양경헌 원장은 “장미 향기나 맥아 냄새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후맹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08
노 교수는 이 연구결과를 1999년 ‘네이처’에
발표
했다. 이 논문은 지난 10년 동안
발표
된 국내 과학자 논문 중 최대인 550회 이상 인용됐다. 현재 BLT를 메모리 소자로 사용하는 F램을 하이닉스사가 개발하고 있다.‘얇게 쌓기’ 세계 신기록연구단이 산화물 연구에 주로 사용하는 전략은 ‘겹겹이 ... ...
방사능에서 살아남으려 화려한 깃털 색 포기
과학동아
l
200708
피해를 줄이기 위해 깃털 색을 포기한다는 연구결과를 영국 ‘응용생태학지’ 7월호에
발표
했다.묄러 박사팀은 체르노빌 지역에서 57종 1570마리의 새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체르노빌 사고가 터져 방사능이 많은 지역에서부터 방사능이 적은 먼 곳까지 총 254곳을 조사해 방사능에 따라 새의 깃털 색이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08
磁氣力線束)이 변할 때 흐르는 유도전류는 그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고
발표
했다 즉, 자기력 선속이 감소할 때는 이 감소를 보충하는 자기력선속을 만드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도선의 상대적 운동으로 기전력을 만드는 경우에도 운동을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치환하면 같아지고,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08
수줍음을 잘 타는 남자는 심장마비 같은 심혈관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
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릿 베리 박사와 필립 그린랜드 박사가 ‘역학회보’(Annals of Epidemiology) 7월호에서 수줍음이 많아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남성은 외향적이고 사교성이 좋은 남성에 비해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08
선발 방식이 성적 위주였다면 2008학년도 입시부터는 인성면접의 비중을 강화하겠다”고
발표
했다. 공부만 잘하는 모범생을 뽑기보다는 문화와 예술 같은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이 있거나 창의적이고 리더십이 뛰어난 학생을 뽑겠다는 포부다.KAIST 입학본부장인 기계공학과 권동수 교수는 “그동안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08
논문에 함께 이름을 올렸고, 졸업 작품으로 연구소에서 실험하던 박막을 만들어
발표
했다. 그는 공부와 연구, 개발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이 씨는 “모젬이 박막 관련 회사라 학부 때부터 박막을 연구한 경력이 합격의 중요한 요인이 된 것 같다”며 “연구소에서 쌓은 경험은 입사 후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08
오하이오주립대 의대 퍼다우스 대버 교수가 2005년 4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적당한 스트레스는 백혈구의 숫자를 늘려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 다만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 호르몬이 백혈구를 만드는 림프구의 분비를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떨어뜨린다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08
세계적 권위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나노막대 생성과 관련한 논문을
발표
해 지금까지 수백 건의 인용 횟수를 기록했다. 1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지금까지 5편이 넘고, 한 논문은 2005년에는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제공하는 미국과학정보연구소(ISI)가 선정한 ‘주목되는 논문’으로 ...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김경태 교수팀은 잠이 드는데 필요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최근
발표
했어요. 이 물질은‘hnRNP Q’라고 해요.뇌에는 송과선이라고 하는 조직이 있어요. 송과선은 밤낮의 길이, 계절별로 해가 비치는 시간 등 햇빛의 변화를 느끼는 곳이에요. 연구팀이 이 곳에서 새로 발견한 물질의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