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5,473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6. 의학물리학자 유돈식
과학동아
l
199906
정보를 해석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도 필요하다. 물리학과(고려대) 출신인 그가 다
양
한 분야의 책을 뒤적이고 사람을 만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X선 발견 1백년, X선 컴퓨터 단층촬영(CT) 30년, MRI가 등장한지는 15년이 됐다.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과학기술에 가속도가 붙은 듯하다. 이 가속도에 ... ...
현대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 연구반
과학동아
l
199906
한 고등학교의 특활반 계획은 10년 앞을 내다보고 있다는 사실이 반갑다.정고운(2학년)
양
은 신입생을 면접할 때 성실성과 성격을 제일 중요시한다고 귀띔한다. 힘든 작업인 만큼 서로에게 힘이 돼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공부만 잘하는 학생들은 대접받기 어렵다는 얘기도 된다. 실제로 이 서클의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4. 환경공학자 황석환
과학동아
l
199906
원예학, 화공학 등 다
양
하다. 다
양
한 대학원생들의 전공만큼이나 개성과 능력이 다
양
해 연구조건으로서는 그만이라고 설명한다.2번 출근하는 새내기학생들 입장에서 단시간 안에 가장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수업이라고 생각해 그에게 강의 준비는 그 무엇보다 우선한다. 이쯤 되면 학생들에게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06
전자는 4개이다. 여기에 최외각전자가 5개인 비소를 불순물로 넣으면 1개의 전자가 남아
양
극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또 게르마늄에 최외각전자가 3개인 붕소를 불순물로 첨가하면 게르마늄의 최외각전자 1개에 대응하는 정공(hole)이 생겨 음극으로 움직인다. 자유로워진 전자와 정공이 부도체인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06
보던 사각형의 그림이 아니다. 그림이 휘어지기도 하고 꺾어지기도 하고 별의별 모
양
으로 만들어져 있다. 스텔라의 이런 그림을 세이프드 회화(Shaped Painting)라고 부른다. 스텔라는 왜 이러한 그림을 그렸을까? 사실 그의 그림은 그린 것이 아니다. 그의 그림은 전체가 하나의 물건이다. 그에게는 더 ... ...
⑦ 복제
과학동아
l
199905
그는 “태아를 태반과 함께 남성의 복부에 이식할 수 있으며 태반을 통해 태아는 영
양
을 공급받고 내부 장기와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0개월간 아버지의 뱃속에서 자란 아기는 제왕절개 수술로 출산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남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을 다량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슴이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05
좌우에 정보를 기록하는데, 이 트랙을 여러개 두고 다중으로 정보를 기록하면 보다 많은
양
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헤드가 필요하고 신호 처리 회로도 복잡해지므로 방송용을 제외한 테이프 리코더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그 대신 가정용 비디오테이프의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05
인간에게도 나이테가 나타날가. 사람의 치아 단면에도 상아질과 백악질 층에 나이테 모
양
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나이와 일치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상아질이나 백악질의 두께와 성장륜의 개수가 나이와 비례하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나이를 산출하기에는 무리다.고고하게 서있는 ... ...
아날로그와 디지털
과학동아
l
199905
디지털 신호는 수학적으로 1과0을 의미하는데, 물리적으로 0V와 5V 또는 N과 S등 분리된 두
양
으로 지정된다. 디지털 신호는 연속적인 신호를 잘게쪼개 단속적인 신호의 합으로 표현한다. 이때문에 정수를 사용해 5.4를 표현하려고 할 때, 0.4를 잘라버리고 5로 나타낼 수밖에 없듯이 약간의 신호왜곡은 ... ...
정보를 담는 그릇들
과학동아
l
199905
사진을 찍어서 재생할 수 있는 영사기술로 발전했고, 현대의 영상기술은 엄청난
양
의 그림정보를 정확하게 저장하고 빠르게 재생할 수 있도록 했다.한편 소리 정보는 쉽게 사라지는 성질이 있어서 정보 저장 기술 중 가장 늦게 발달했다. 1930년대 축음기가 발명되기까지 소리는 한순간 존재했다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