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성모 마리아가 토끼를 발로 밟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한 마리가 뛰어나오다가 밭 가운데에 있는 그루터기에 부딪쳐 목이 부러져 죽고 말았다.
덕분
에 공짜로 토끼를 얻은 농부는 농사를 집어치우고 매일 밭둑에 앉아 지난번 그 그루터기에 토끼가 부딪쳐 죽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토끼는 다시 나타나지 않았고 농부는 온 나라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됐다. ... ...
세계인구 반 이상이 심령 현상 경험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메타분석으로 얻은 괄목할만한 성과는 호노턴의 텔레파시 실험분석이다. 호노턴의 노력
덕분
에 ‘심리학 개론’의 1990년 개정판에 사이현상이 소개되었기 때문이다. 리처드 애트킨슨 등 4명이 집필한 이 책은 미국 대학생들의 심리학 교재로서 가장 인기가 높다. 이 책의 저자들이 초심리학에 대한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만들었던 배틀넷은 네티즌들의 폭발적인 성원에 힘입어 스타크래프트도 지원하게 됐다.
덕분
에 스타크래프트 배틀넷은 포화상태가 이르렀고, 네티즌들은 자신의 서버에 ‘프리 배틀넷’을 만들어 놓고 게임을 즐길 정도가 됐다.③ 리니지(lineage.ncsoft.co.kr/ko.htm)엔씨소프트의 리니지는 국산 네트워크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통칭해 '피톤치드'라고 한다. 숲에 가면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는 이유도 이 피톤치드
덕분
이다. 이러한 나무들 중 특히 소나무의 항균작용은 다른 나무에 비해 월등히 높다. 또 소나 무는 상처를 입으면 그 자리에 송진이 흘러나와 상처를 아물게 하고 나쁜 세균의 침입을 막 는다. 이렇듯 ... ...
최초의 공룡 피부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알을 낳은 후 몇몇은 부화되지 않은 채 강물이 범람해 진흙층에 덮이게 되고, 이 점토층
덕분
에 알은 다른 공룡에게 먹히거나 부서지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공룡이 알을 낳고 강물이 범람하는 것이 주기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이렇게 많은 공룡의 알이 쌓이게 된 것이다.이 알들의 주인은 누구일까?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보이는 PC로 지난 8월 미국에서 첫선을 보였다. 그런데 6주만에 약 28만대가 팔리는 iMac
덕분
에 애플사는 단숨에 침체의 늪에서 벗어났다고 한다. 하루 평균 1천대 가까이 팔린 셈.iMac은 스티브 좁스 회장의 작품으로 '다르게 생각하자'는 전략을 현실화한 것이라고 평가를 받는다. 한마디로 파격적이란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향한 NASA의 노력은 이미 6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돼 왔다. 특히 냉전시대 옛소련과의 경쟁
덕분
에 마리너를 비롯한 많은 탐사선들이 금성과 화성을 향해 발사될 수 있었다. 이 결과 금성과 화성의 모습은 오늘날 과학책을 온통 도배하고 있다.목성과 토성이 처음으로 자태를 드러낸 것은 1972년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중요한 사건으로 인쇄술이 언급될 때마다 우리들은 선조들이 일구어 낸 눈부신 인쇄술
덕분
에 더 높은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예로부터 인류는 삶의 족적을 기록으로 후세에 남기고자 애썼다. 그래서 수천년 전 선사시대 사람들은 바위 위나 큰 절벽 또는 동굴의 벽면 등에 삶의 족적을 새겨 넣거나 ... ...
잃었던 소호위성 되찾아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탐색했으나 허사였다.연구진이 이번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지상의 전파망원경
덕분
이었다. 지난 7월 28일 지상최대의 전파망원경인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망원경과 캘리포니아 골드스톤에 있는 전파망원경 2대가 소호를 향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서 소호가 있을 만한 곳에 강력한 전파를 ... ...
2. 고래가 바다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겹쳐지고 콧구멍이 뒤쪽로 이동해 머리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잡았다. 이러한 진화
덕분
에 고래는 머리를 물속에 처박고 호흡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귀뼈는 공기주머니나 기름덩어리 등으로 변했다. 앞다리는 지느러미로 발달한 반면 뒷다리는 퇴화됐다. 지금은 수염고래에서 뒷다리의 흔적을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