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들의 세계도 약육강식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엑스선은 빠르게 자전하는 거성과 비슷한 정도였다.연구에 참여한 로돌프 몬테즈
박사
는 “이 별의 빠른 자전 속도는 다른 별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일 수 있다”며 “BP피스키움이 잡아먹은 별에서 에너지를 얻은 듯하다”고 설명했다.별은 나이가 들어 핵융합 반응에 쓸 연료가 떨어지면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학실험실에 참여하고 싶은 친구는 엽서에 정성을 가득 담아 사연을 보내 주세요. 섭섭
박사
와 함께 과학 실험도 하고 ‘어린이과학동아’에도 실리는 일석이조의 기회! 그림 :박순구참여독자 : 손현아(울산 개운초 5 ... ...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말이에요~!섭섭
박사
님과 함께양력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실험부록인 섭섭
박사
의 양력연구실로 양력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비행기 날개를 위로 띄우고 있답니다. 후우~!이 물체를 어떻게 공중에 띄우지?양력을 이용하면 되지! 날아라, 내 친구 부머랭~!부머랭을 ... ...
문화재 사랑은 느티나무 심기부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보호하려면 느티나무를 심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국립산림과학원 박병수
박사
연구팀은 사찰이나 향교 등 전국의 목재 건축 문화재 114곳의 기둥 1009점에서 나온 나무조각을 약품으로 처리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사진)이나 수덕사 대웅전 등 고려시대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NASA)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에머트
박사
는 6월 19일자에 발표한 ‘지구물리학연구지’ 논문에 “뭔가 우리가 이해하지 못한 일들이 열권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적었다.사실 열권이 줄어드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열권의 온도는 태양에서 나온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입은 아동은 성인이 된 뒤 우울증이나 알코올중독, 자살충동 증상을 겪기 쉽다.게르쇼프
박사
는 또 다른 부작용으로 체벌을 당한 아동은 아동학대의 피해자가 될 수도,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들었다. 연구에 따르면 아동학대를 범한 부모의 3분의 2는 자녀에게 올바르게 행동하는 방법이나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김
박사
팀은 이 기술로 중국 특허까지 얻었다. 중국정부가 김
박사
팀의 기술을 사용하려면 희소금속의 공동사용권을 나눠줘야 하는 셈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 김신종 사장은 “희토류 금속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해 희토류 시장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은폐색이 중요한 진화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유타대 생물학과 사라 부시
박사
와 동료들은 새의 깃털에 기생하는 ‘깃털 이’의 몸 색깔을 조사한 결과 깃털 색깔과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고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0월호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조류 가운데 같은 과(科)에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유학을 떠나 랄프 파울러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대학원에 입학한 지 3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은 찬드라세카는 연구원 과정을 거쳐 27세의 젊은 나이에 미국 일리노이 주의 명문 시카고대의 교수가 됐다. 그곳에서 찬드라세카는 198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1995년 84세로 숨을 거둘 때까지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동대학원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및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
후연구원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