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60°의 고경사각을 갖춘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으로서는 세계에서 유일한 장비인
셈
이다.실제 성능시험 결과 실리콘웨이퍼를 3방향으로 기울여 각각의 이미지를 얻어냈다. 이 이미지에서는 0.136nm 간격으로 조밀하게 보이는 실리콘 원자까지도 구별 가능하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사업을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밥솥은 솥 전체에 열이 가해진다. 바닥 전체가 골고루 열을 받는 무쇠솥과 비슷한 이치인
셈
이다.그렇다면 이렇게 지은 무쇠솥 밥맛이 정말로 다른 밥보다 맛있을까. 연구팀은 솥구조와 밥맛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 시식단 10명을 선발했다. 무작위로 뽑은 4백명 가운데 신맛·단맛·쓴맛·짠맛 등 ... ...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공개한 것이다. 실제 색에 가깝게 보정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해프닝인
셈
이다.이에 앞서 지난 1월 29일 영국의 일간 ‘데일리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은 NASA가 화성 사진에서 컬러를 조작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 신문은 NASA가 화성 탐사로봇이 보내온 영상을 필터로 조작해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않든 가장 먼저 외모를 평가한다. 항상 미의 탐색기를 활발히 가동하면서 살고 있는
셈
이다. 이 탐색기는 1백50㎲(마이크로세컨드, 1㎲는 10-6초)라는 눈 깜짝할 순간 동안에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미의 등급을 매겨버린다. 흥미롭게도 미의 등급은 이 짧은 시간 동안 결정된 뒤 잘 바뀌지 않는다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환자자신의 줄기세포의 단점인 낮은 증식력을 모두 극복한 대안이 바로 배아 복제인
셈
이다.그러나 자궁에 착상만 시키면 복제인간이 만들어지는 배아 복제 연구에는 윤리 문제라는 암초가 숨어있다. “인간복제 의도는 전혀 없다”고 수차례 밝힌 황 교수 자신이 2월 18일 귀국기자회견에서 향후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아니지만 한번에 수백만통의 메일을 발송하는 스패머에게는 상당한 시간낭비인
셈
이다.MS가 준비중인 또다른 방지기술은 메일에 암호화한 메일 송신자 정보를 심는 기술, 일명 송신자 검증기술이다. 메일서버가 송신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다시 발송자에게 띄워 인증절차를 거치게 한다는 개념이다.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합니다. 끊임없이 자신을 사랑하는지 확인받기 원한다면 이미 사랑이라는 마약에 중독된
셈
입니다.다음 단계는 상대에 대해 강한 애착을 느끼는 단계로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이라는 호르몬이 보상중추에 작용하는 시기입니다.동물 실험에서 이 두 호르몬은 짝짓기를 할 때 뿐 아니라 새끼를 낳고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부메랑, 코알라, 왈라비.우리에게도 익숙한 이 단어들은 어느 나라 말일까. 영어사전에서 찾을 수 있지만 사실은 다룩(Dharuk)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다. 다룩어는 시드니 인근에 살 ... 계층간의 의사소통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언어 멸종이 전혀 남의 얘기인 것만은 아닌
셈
이다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켜놓고도 묵묵히 자기 일을 잘 하는 사람은 우주인으로서의 자질을 갖고 있는
셈
이다.식사는 어떻게 해결할까. 과거 초기 우주인들은 튜브 형태의 음식을 먹었는데, 이같은 식사는 우주인들에게 불평의 대상이었다. 장기체류시 먹는 즐거움이 없어져 일종의 스트레스로도 나타난다고 한다. 따라서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나머지는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몰포나비의 광구조는 파란빛만을 반사시키게 설계된
셈
이다.몰포나비 외에도 자연계에는 광구조를 갖고 있는 생물들을 종종 볼 수 있다. 반짝이는 녹색 겉날개가 아름다운 비단벌레같은 딱정벌레류나 유리새 같은 몇몇 새의 깃털에서도 발견된다. 열대림에는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