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개발하고 검증하는 시험대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목포대 iSL팀을 이끄는 이기남 연구원(박사과정)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연구자로서 다른 나라의 연구자들과 교류하고 싶어서 대회에 참가했다”며 “특히 내가 개발한 로봇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술을 검증하고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공전 주기가 1년 정도 되는 멀고 작은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특화돼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칠레, 호주, 남아공 세 곳에 관측시스템(KMT Net)을 설치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암호작성술 컨퍼런스인 ‘아시아크립트(Asiacrypt)’에서 덴마크공대 줄리아 보그호프 연구원이 제안했다. 암호 알고리듬은 기본적으로 암호화와 복호화의 과정을 거친다. 특정 메시지를 수식을 통해 변환하는 것이 암호화, 역으로 암호를 푸는 과정을 복호화라고 한다. 프린스는 복호화 과정이 매우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KAIST, 광주 GIST, 부산대등 4개 지역 5개 대학에서 열리고 있다.특히 올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설립 30주년을 맞은 데다, 에볼라바이러스와 메르스 때문에 생명공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돼 있어 참여 열기도 한층 뜨거웠다. 총 1034명의 고등학생이 참가했으며, 전장수 GIST 생명과학부 교수, 강창원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동남아시아에는 아주 특별한 도마뱀이 산다. 몸길이 약 20cm 정도 되는 이 작은 도마뱀은 나무 위에서 사는데, 가지에 앉아서 쉬고 있는 모습은 매우 평범해 보인다. 하지만 근처로 다가가면 다른 도마뱀들이 보여주지 못하는 기이한 묘기를 보여준다. 옆구리에 달린 ‘날개’를 펼쳐 가지에서 뛰어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명)’태양계 행성 8개의 이름은 우주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일반인들도 정확히 외우는 상식이다. 하지만 이런 행성들의 특징을 세 가지만 꼽아보라고 한다면? …. 수억~수십억km 떨어진 우리의 이웃(?) 행성들은 이렇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다. 그래서 준비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회자(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 | 3D 디스플레이(3D)사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02년 즈음, 흑백이던 휴대전화 화면이 총천연색으로 바뀌던 그날을 기억하십니까. 그 이후 우리의 디스플레이는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혁명이라 불릴만한 발전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드디어 디스플레이의 혁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볼츠만 상수의 값은 1.3806AA × 10-23 J/K다. AA라는 두 개의 숫자를 2018년까지 정해야 한다. 양 연구원은 “2년 전연구를 주도하고 있던 프랑스와 영국팀이 각각 측정한 값이 100만분의 3 크기로 서로 달라 문제가 됐다”며 “우리 연구팀이 영국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내 바로잡았다”며 기술력을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플라스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단다.”박테리아가 만드는 플라스틱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우한민 박사팀은 지난 해 박테리아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이라는 박테리아예요. 이 박테리아는 원래 대사를 한 후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관측해 발표했어요. 무거운 별들이 탄생하는 지역(W75N)을 관측한 결과로,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원시별의 분출물이 사방으로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