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재미있게 물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었습니다.”최 교수는 물리학 가운데
우주
론이나 양자역학처럼 특정한 분야를 구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물리학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다뤘다. 그는 복잡한 알파벳과 숫자를 나열시켜 물리학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현재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을
우주
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까? 달보다 소행성에 가는 비용이 오히려 적게 들어요. 따라서 달보다는 지구에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에서 지하자원을 가져오는 것이 훨씬 좋을 수도 있답니다. 어떤 소행성은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필자는 전문 음악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 글의 내용보다 더 깊은 수준을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글만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어도 큰 어려움 없이 노래반주 중 ... 가벼운
우주
오케스트라를 들었다면 케플러는 불협화음이 섞여 무겁고 심오하게 들리는
우주
오케스트라를 듣지 않았을까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안성훈 교수는 미국 미시건대 항공
우주
공학과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스탠퍼드대에서 항공
우주
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석학이다. 2003년부터 서울대에 재직하며 2005년 제조 고려 설계에 대한 논문으로 대한기계학회에서 백암논문상을, 2007년에는 마이크로 가공 분야에 대한 연구로 한국정밀공학회에서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득을 얻는 일과는 거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1993년 미국 의회는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을 통한 지원을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다.쇼스타크 박사는 “당시 결정은 충격 그 자체였다”고 말했다. 운영비가 끊기는 것은 물론 국가 소속의 망원경을 사용하는 일도 힘들어졌다. 하지만 미국인 ... ...
보통 사람에
우주
의 꿈 씨앗 뿌린 국제
우주
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교류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NASA는 오랜 기간 지구 탐사와
우주
과학 분야에서 협력하며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NASA 관계자가 항우연을 지속적으로 방문해 실무 차원에서 협력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글 대전=전동혁 기자 jermes@donga.com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와 웅진 오멜라스 출판사가 공동으로 펴낸다. ‘디지털
우주
’전시회 전국 주요 KTX 역에서 국내 아마추어천문가들이 촬영한 천체사진 24점을 전시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천체사진 작가 9명이 참여하며, 태양계로부터 별의 일생과 은하의 세계까지 망라하는 ... ...
허블
우주
망원경 수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난 해 10월, 전력공급 장치 고장으로 작동을 멈췄던 허블
우주
망원경이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우주
인들에 의해 수리되었어요. 지난 5월 ... 새로
우주
로 올려져 허블
우주
망원경의 뒤를 이어
우주
를 관측할 예정이에요. 따라서 허블
우주
망원경의 수리는 이번이 마지막이 될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임용된 조지 스무트 교수는
우주
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
우주
배경복사’의 온도 차를 측정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습니다. 수리학자 아버지를 둔 스무트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10월 13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한국 최초의 세티 워크숍이 열렸다. 그 다음날에는 국제
우주
대회 제38차 세티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여기에 참가한 세티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세티 코리아 외국인자문위원회가 구성됐다. 10월 31일에 열릴 대한민국 별 축제 행사에서는 세티 코리아 선포식이 진행된다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