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491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성자 별’ 충돌 때 나오는 다양한 신호로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0
주목받는 ‘다중신호 천문학’ 다중신호 천문학에선 중력파와 우주전파를 모두 활용한다. 멀리 떨어진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동원하는 초장기선 간섭 관측법(VLBI)도 자주 동원된다. 사진은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 천문대에 자리한 ‘서브미터’ VLBI 관측 장비의 모습. 스미스소니언 천문대 제 ... ...
[메르스 비상] ‘사스’ 사촌 메르스…호흡기질환 중 가장 치사율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바이러스는 접촉 통해 감염 손만 자주 씻어도 대부분 예방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최근 지구촌 곳곳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감염병이 확산되면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3년전 전국을 공포로 몰았던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 ...
[메르스 비상]2015년엔 ‘초동 대비 실패’가 피해 키워...밀접 접촉자 관리 만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2015년 메르스 유행 사태는 국내 공중보건 역사에서 가장 심각했던 위기 중 하나로 꼽힌다. 2015년 5월 20일 국내에서 첫 환자가 나타나, 그 해 12월 23일 정부가 유행 종료를 선언할 때까지 총 186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38명이 사망했다. 민관이 힘을 모아 217일 만에 유행 사태를 종식시켰지만, 초반 약 20 ... ...
[메르스 비상] 3년 만에 발생, 앞으로 2주 확산 고비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환자 접촉 21명 격리 확산 앞으로 2주가 고비 위기경보 '관심'→'주의' 격상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격리병실이 통제되고 있다.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6일까지 쿠웨이트를 방문하고 7일 귀국한 메르스 확진자 A씨(61세)는 입국 직후 발열과 가래 등 메르스 증상을 보여 삼성서울병원을 ... ...
서울대팀, 파킨슨병 조절하는 유전자 작용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09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의 진행 조절 기전을 밝히는데 성공했다. 파킨슨병은 퇴행성 뇌 질환의 일종으로 근육떨림과 마비 등의 증상이 생기며 심하면 전신불수 및 사망에 이른다. 이번 연구결과는 파킨슨병은 물론 치매의 원인인 알츠하이머 등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적용될 ... ...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8.09.08
‘지글지글 차알찰 차르르르~.’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치킨 튀기는 소리에 침이 고였다. 하지만 맛있는 치킨을 상상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도대체 저 소리가 치킨 몇 조각을 튀기는 소리냐 하는 점이었다. 모든 사람들이 숨을 죽이고 귀를 기울였다. GIB 제공 7월 22일 기자는 서울 송파구 롯 ... ...
[세계수학자대회 On Air] 그것이 알고싶냐? 사라진 필즈 메달 편
수학동아
l
2018.09.07
본격 세계수학자대회 전용 방송 ICM TV에 접속하신 걸 환영합니다! 저희 ICM TV와 함께면 201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부터 예능까지 다양한 채널을 준비했으니 입맛에 맞는 채널을 골라 시청해 보세요! 2018년 8월 1일. 코체르 비르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 ...
"수학의 노벨상 '필즈상' 천재들만의 전유물 아냐"
수학동아
l
2018.09.06
6~7일 필즈상 해설강연 비르카르 교수의 업적을 설명하는 박지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박 교수는 ''비르카르 교수와 지도 교수도 같아 가문의 영광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강연을 시작했다. “비르카르 교수가 천재라서 홀로 난제를 해결한 게 아닙니다. 그 전에 많은 수학자가 노력한 덕분에 ... ...
대장균 이용해 철분 생산… 실용화 가능한 미생물 활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대장균을 이용한 헴 생산 및 세포외 분비 전체 개념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에 둘러싸여 다른 철보다 흡수가 10배정도 잘 되는 ‘헴철’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대장균을 이용해 헴철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떼려야 뗄 수 없는 ‘때’는 왜 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때를 만드는 주범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다. 지름 10㎛ 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또 다른 주역은 각질이다. 피부 표면을 덮고 있는 상피세포가 수명을 다하면 수분을 잃고 말라서 단단해진다. 이를 각질화라고 한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새로 생긴 상피 세포가 죽은 세포를 밀어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