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안정하기"(으)로 총 5,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은하가 심장에 ‘막대 구조’ 품은 이유 “은하단 충돌 때문” 동아사이언스 l2019.06.30
- 막대나선은하인 NGC1300의 모습이다. 가운데 가로로 비스듬히 긴 구조가 이 은하의 막대 구조다. 이런 막대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지난 100년간 연구돼 왔다. 이번에 임명신 서울대 교수팀이 새로운 탄생 원리를 관측으로 증명했다. 사진제공 NASA, ESA 우리 은하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 회오 ...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6.30
- 장수명 나트륨 배터리의 음극소재 원리를 밝힌 주역들. 왼쪽부터 육종민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박재열, 박지수 연구원. 사진제공 KAIST 5년 이상을 사용해도 충전 및 방전 성능이 초기의 93%까지 유지되는 새로운 배터리의 전극 소재를 국내 연구팀이 발견했다. 작동 원리까지 자세히 밝혀, 고성능 ... ...
- [프리미엄 리포트] 軍은 왜 사흘간 수백명의 과학자들을 불러모았나동아사이언스 l2019.06.29
-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국제협력관에서 열린 '2019년 1차 코리아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에는 미래 기술 동향을 듣기 위한 군과 과기계 관계자들이 모였다. KIST 제공 “지금까지 대한민국에 이런 콘퍼런스는 없었습니다. 군과 사회의 미래를 위해 지혜를 공유해 ... ...
-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리튬 금속배터리 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이상영∙곽상규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에 리튬이 갇히는 원리를 규명해 물속에서도 안전하게 리튬을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조석규(왼쪽) UNIST 박사과정생, 정관영(가운데) UNIST 연구원, 이지윤(오른쪽) UNIST 연구원도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 ... ...
-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아웃소싱의 시대(중) 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2018년 2월 미국의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발사한 팰컨헤비에 실려 있던 CEO 일론 머스크의 자동차 로드스터와, 함께 보낸 마네킹 '스타맨'이 화성에서 차를 마시며 태양을 바라보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이기도 한 이 그림은 스페이스X의 지향점을 제대로 보여준다. 화성 유인탐 ... ...
- 김두철 IBS원장 “외부 질타 겸허히 수용.자율성 재정립·행정조직 혁신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9.06.26
- 김두철 IBS 원장 김두철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사진)이 현재 연구단별로 운영되는 행정지원조직을 통합하고 연구단의 연구비 사용에 대한 본원의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자구안을 내놨다. 김 원장은 26일 낮 IBS 전체 구성원에게 발송한 e메일 메시지를 통해 최근 언론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 ... ...
- 세포 신호 전달자 ‘일산화질소’ 조절법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조재흥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앞줄 왼쪽), 서대하 교수(앞줄 오른쪽)와 연구진.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 활성신호를 조절하는 일산화질소를 전달하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고 세포 활성과 관련된 일산화질소를 조절하는 법을 찾아냈다. 향후 세포 조절을 통한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에 ... ...
- 이지윤 KAIST 교수, 국내 첫 美 항법학회 이사 선출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이지윤 KAIST 교수. KAIST 제공. KAIST는 이지윤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국내 최초로 미국 항법학회(ION, Institute of Navigation) 이사로 선출됐다고 25일 밝혔다. 1945년 창립된 미국 항법학회는 50여개국 회원이 활동하는 항법 분야 최고 권위 학회다. 학회 이사회는 항법 관련 분야에서 가장 활동적인 인사 3 ...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 2015 12월, 전남 영광군 홍농읍 한빛원전 물양장에서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을 포장한 드럼용기를 싣고 있다. 연합뉴스 한빛1호기 열출력 급증 사고에 대한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특별사법경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중간수사 결과 무자격자 운전과 원자로차장의 반응도 잘못 계산 등 전방위 ...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동아사이언스 l2019.06.24
- 2016년 스위스에서 열린 '사이배슬론' 대회에서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한 선수들이 실력을 겨루고 있다. EPA/연합뉴스 20일 대전 소재 KAIST 기계공학동엔 오전부터 취재진이 몰려들였다. 지난 2016년 스위스에서 처음 열린 ‘사이배슬론’ 대회에서 웨어러블 로봇 종목 3위를 차지한 공경철 KAIST 기계공학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