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뉴스
"
이하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밝혀졌다. 코마 성단(coma cluster). -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임계온도
이하
의 성단이 별을 무한히 생성하지 못하는 까닭 역시 밝혀내고 여기에 ‘추락으로 인한 피드백(precipitation-driven feedback)’ 현상이란 이름을 붙였다. 별을 생성하기 위해 온도가 낮은 공간에 모인 가스는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사라져서 아쉬워하기도 했다). 학생들의 스마트폰에는 공부를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
이하
어플)이 평균 2~3개씩 깔려있었다. 공통적인 건 공학용계산기 어플. 10년 전만 해도 공대생이라면 누구나 공학용계산기를 갖고 다녔다. 손바닥보다 조금 더 큰 검은색 계산기는 시험 볼 때 ‘커닝페이퍼’를 ... ...
차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해 1나노초(ns)
이하
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저장용 메모리뿐 아니라 CPU의 주메모리 및 논리소자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지적했다. 단맛과 쓴맛, 감칠맛을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는 특정 단백질(Trpm5)은 0도
이하
의 저온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빙하기의 극심한 추위에 맛을 전달하는 단백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미각과 관련된 유전자도 함께 작동을 멈췄을 가능성이 ... ...
차가 막히는 이유? 옆차로에 끼어든 당신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5.02.17
이하
어린이는 안전띠보다 어린이용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동 실험에서 12세
이하
의 어린이가 성인용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 카시트를 사용했을 때보다 사고 시 2차 상해를 입는 등 중상 가능성이 3.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야간 운행 시 상향등 자제 도심보다 어둡고 ... ...
어이없는 106중 연쇄추돌 어떻게 일어났나
2015.02.15
브레이크를 밟고 완전히 멈출 때까지 약 3초가 걸린다”며 “가시거리가 20m라면 시속 39km
이하
로 달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말 심한 안개가 낀 날은 2∼3m 앞도 채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날은 차량을 가급적 운행하지 말고 주위 상황에 최대한 주의하며 최대한 느린 속도로 안개지역을 ... ...
[횡설수설/정성희]콜레스테롤의 사면
동아일보
l
2015.02.13
개당 200mg의 콜레스테롤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미국 식생활 권장량 ‘하루 300mg
이하
’의 3분의 2 수준이다. 100g으로 환산하면 1300mg이나 돼 소 곱창(190mg)이나 명란젓(350mg)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다. 콜레스테롤이 누명을 벗으면 달걀 소비부터 늘어날 것 같다. 물론 당뇨병 등 특정 환자는 여전히 ... ...
안갯속 운전, 눈 내릴때보다 위험… 치사율 4.2배
동아일보
l
2015.02.12
브레이크를 밟고 완전히 멈출 때까지 약 3초가 걸린다”며 “가시거리가 20m라면 시속 39km
이하
로 달려야 한다”고 말했다. 안전거리 확보도 중요하다. 가시거리가 짧기 때문에 평소의 2배 정도 여유를 둬야 한다. 차로 변경도 최소한으로 줄이고 추월차로 대신 주행차로로 달리는 것이 안전하다. ...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반도체로 쓰기 위해서는 전자의 흐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안 교수는 “1nm
이하
집적도를 가진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실험으로 입증했다”며 “기존 반도체와 컴퓨터에는 물론 양자컴퓨터나 원자컴퓨터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졌지만, 두 방울 사이의 간격이 2~3nm
이하
로 가까울 경우에는 액체에 녹지 않고 물 층을 통과해 곧장 이동하는 ‘직접 기체 수송’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나노공기방울 내부 압력이 대기압의 266배에 이르는 초고압 상태라는 것 또한 새롭게 알게된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