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0,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과 부등식
과학동아
l
200907
실생활에서는 방정식보다는 부등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 예 를 들어 물건을 팔 때 얼마
이상
으로 팔아야 이익이 되는지, 키가 누 구보다 크다든지 또는 작다든지 할 경우도 모두 부등식으로 나타내 야 하는 상황이다. 부등식상황은 자연 상태에서도 만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눈송이를 이루고 ... ...
선비의 풍류 살리는 장중한 소리 거문고
과학동아
l
200907
높아지고 줄이 두꺼울수록 진동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거문고는 한 옥타브
이상
차이가 나는 두 줄이 어우러져 독특한 음색을 만든다. 이런 옥타브 차이 때문에 듣는 사람은 음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처럼 느낀다.선비들이 거문고를 사랑한 이유는 아마도 그 독특한 음색에서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6
무슨 물체가 떠 있는지를 알아 낼 수 있어. 현재의 레이더 기술로는 크기가 약 10㎝
이상
인 물체를 찾아 낼 수 있지. 망원경망원경을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관측하는 방법도 있어. 레이더에 비해 효율은 떨어지지만 눈으로 직접보기 때문에 더 정확해. 하지만 우주쓰레기가 태양빛을 반사하지 않으면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06
변이(H274Y, R292K, N294S)가 생겼으며 그 결과 아미노산 E276가 회전하지 않아 타미플루는 더
이상
뉴라미니다아제와 결합할 수 없게 된다.활성부위에 있는 아미노산인 발린과 물 분자가 결합해 타미플루가 결합하는 일을 막는 변이(E119V)도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변이는 릴렌자가 활성부위와 결합할 때는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06
같은 별이 최후에 바깥쪽으로 기체를 잇달아 뿜어내 탄생한 행성상성운이다. 적어도 2개
이상
의 원반으로 구성돼 있는데, 마치 파란 홍채에 충혈된 눈동자처럼 보인다. 군데군데 길쭉한 배경은하도 눈에 띤다. 이 성운의 실제 지름은 2광년이나 되고 겉보기 크기는 보름달의 4분의 1 정도다.당신이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06
사항이 중요하게 검토되고 있다. 아이로봇 사의 ‘팩봇’은 현재 전 세계에서 1500대
이상
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KIST와 유진로보틱스에서 공동 개발한 위험작업 로봇 ‘롭해즈’가 자이툰부대와 함께 이라크 전장에 투입되기도 했다. 적군을 정찰하거나 사제 폭발물을 제거하는 임무를 ... ...
인터넷서 손짓하는 저승의 신 하데스
과학동아
l
200906
관한 정보를 찾고 나누는 행위를 차단하는 별 다른 장벽을 찾을 수 없다. 여기에는 ‘
이상
한’ 금칙어 시스템이 한 몫을 한다. 현재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에선 ‘자살’을 검색창에 입력하면 지식 공유 코너는 물론 웹 문서, 블로그, 카페가 모두 검색 불능에 빠진다. 하지만 연관된 검색어를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06
마하 3(초음속) 정도가 한계인 현재의 터보제트 엔진 대신에 비행기를 마하 6(극초음속)
이상
가속할 수 있는 ‘스크램제트’ 엔진을 개발하겠다는 게 골자다. 이 엔진을 단 제트기는 인천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한 두 시간 만에 도착할 수 있다.최근 제트기 개발의 또 따른 축은 ‘소닉붐’(sonic boom) ... ...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06
중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다.“US3은 감염된 세포의 소포체 안에 들어 있었습니다.
이상
한 점은 US3가 들어 있는 소포체 안에는 PDI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죠.”연구단은 US3가 PDI를 소포체 바깥에 있는 프로테아좀으로 보내 분해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PDI의 산화환원 반응을 억제하면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벗는 경향이 있다. 탈피 후 새롭게 만들어진 껍질은 원래의 낡은 껍질보다 크기가 15%
이상
큰데, 이때 게를 만져 보면 껍질이 물렁물렁하기 때문에 살이 적어 야윈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탈피를 한다고 해 살이 갑자기 줄어들 리는 없으니 보름날 꽃게가 여윈다는 얘기는 잘못된 속설이지 않을까.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