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12
선배인 정원 씨는 100GHz 대역의 우주전파를 수신하는 장비(100GHz 수신기)를 만들었다. “
처음
엔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했죠. 간단한 스위치도 시장에서 어떤 종류를 쓰는지 몰라 청계천 상가마다 돌아다니다가 많이 파는 부품으로 골랐어요. IC, 저항, 콘덴서를 청계천에서 구입한 뒤 4층짜리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2
준비하라’는 비아냥을 받곤 했던 우리나라의 기상예보는 기상청이 1999년 슈퍼컴퓨터를
처음
도입하면서 크게 개선된다. 기상청은 2004년 국내 최고의 슈퍼컴퓨터를 추가했다. 그래도 간혹 틀리는 걸 보면 날씨 예보가 무척 어렵긴 한가 보다.1861년 6월 20일비타민을 발견한 영국의 생화학자프레더릭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11
대해 래빗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기에 솔직하게 답했다. 내가 일본 수상이었다면
처음
에는 황당하고 나중에는 두고두고 화를 냈으리라.“얄미웠다오. 다나까뿐만 아니라 역대 일본 수상의 발언을 살피면 자신들이 저지른 부끄러운 짓들은 모두 감춘 채 평화나 번영이니 하는 말만 지껄였다오.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11
정확히 제거하는 ‘유전자 적중 기술’을 개발했다. 1989년에는 유전자 적중 쥐를 세상에
처음
으로 선보였다.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전자 적중 쥐는 질병을 치료하는 길을 매끄럽게 닦았다.맞춤형 쥐는 과학자가 원하는 특정 유전자를 쏙 뺀 쥐다. 사실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11
지난 3월부터 감자칩인 ‘워커스 크리스프’에 ‘탄소발자국 75g’이라는 로고를
처음
붙였다.영국인의 미국 상륙 40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5월 미국을 방문한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자신이 여행하는 동안 발생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계산해 이를 상쇄할 수 있는 만큼의 ... ...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
과학동아
l
200711
잭 피니의 SF소설 ‘신체강탈자’(The Body Snatchers)를 원작으로 1956년 미국에서 영화로
처음
만들어진 뒤 세 번째로 리메이크됐다. 영화에서 인간은 외계생명체에 감염된 뒤 감정의 기복이 없는 냉혈한으로 변신한다. 감염된 인간은 상대방에게 타액을 뿜어 외계생명체를 퍼뜨리는데, 마치 인플루엔자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많잖아? 수모기도 더듬이에 털이 무지 많지. 모기 애벌레는 장구벌레라고 해. 장구벌레를
처음
보는 친구들이 많을 거야. 거꾸로 헤엄치는 모습이 신기하지?뭐가 궁금하니?우리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 많더라. 궁금해 하는 친구들도 많고. 뭐든 물어 봐! 내가 설명해 줄게.왜 그렇게 왱왱거리니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11
발생시키는 장치인데, 싱크로트론은 다른 가속기에서 예비적으로 가속된 입자를
처음
부터 원궤도에 따라 가속시킴으로써 10억eV 이상의 높은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디지틀화함으로써 하나의 단일망으로 통합하여, 각종 서비스를 총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11
열고 닫아MR이 강자성체 합금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면 페르 교수와 그륀베르크 박사가
처음
발견한 GMR은 철 같은 강자성체와 크롬 같은 반강자성체를 번갈아 붙인 박막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만약 두 개의 강자성층을 그 자기화의 방향이 나란하도록 붙이고 전류를 흘려주면 전기저항이 작아지고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11
인디애나대 의대 할 브록스마이어 교수는 제대혈(탯줄 혈액)이 혈액치료에 유용함을
처음
밝힌 이 분야의 거장. 그가 김 교수를 찾은 것은 증식력이 없어 치료범위가 제한된 제대혈의 대안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생각했기 때문.배아줄기세포를 키우다보면 염색체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왜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