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줬을 뿐 비소가 들어 있는
물
질의 분자 구조를 확실히 보여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논문에서는 박테리아에서 분리한 생체 분자에 비소가 인보다 많이 들어 있음을 보였지만, 이것만으로는 비소가 인을 대신해 분자 구조의 같은 위치에 들어가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말했다.종이접기를 활용하면 신축성이 생기기도 한다. 접었다 펼 수 있는 휴대용
물
통이나 잡아당기면 뱀처럼 길어지는 호스 등이다. 프랑스나 스웨덴 같은 유럽 국가나 미국, 일본 시내에서 볼 수 있는 굴절버스는 버스 중간에 주름 모양의 조인트가 있다. 일명 ‘아코디언버스’라 불리는 이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물
체가 그 자리에 없는것처럼 속인다.이 밖에 천문학 분야에선 ‘우주의 대부분이 암흑
물
질(22.7%)과 암흑에너지(72.8%)로 돼 있다’는 사실을, 고고학에선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와는 다른 종이라는 사실’을 꼽았다. 세포학 분야에서 ‘일반 세포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어 원하는 세포를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길고양이는 결코 위협적인 ‘떠돌이 전사’나 음습한 ‘악령의 동
물
’이 아니다. 불쌍하고 천대받고 멸시당하지만,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우리의 길거리 이웃이다. 지속적으로 손을 내민다면 얼마든지 친구가 될 수 있는, 심장이 뜨겁고 늘 정에 굶주린 약자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2009년에는 miR-29가 암 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는 내용을 ‘네이처 구조·분자생
물
학’에 발표했다.김 교수는 이와 같은 공로로 2007년 여성 과학계의 최고상으로 꼽히는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을 받았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 ‘셀’의 편집위원으로도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흙에 얽힌 재미난 사례가 모두 일본 중심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산재 위에 식
물
이 자라면서 만들어진 검은 부식토(화산회토)처럼, 활화산이 발달한 지형에서만 볼 수 있는 흙이 궁금하다면 읽어볼 만하다. 농사 외 용도로 생활에 쓰이는 흙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예를 들면 활석이나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쓰이는 듯 했다.장군도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알고 있을까. 하지만 굳게 입술을 다
물
고 기술자들에게 몸을 내맡긴 장군은 말이 없었다. 어서 이 휴가를 끝내고 빨리 제 자리로 돌아가 도성을 지키고 싶은 마음뿐인 듯했다.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장군은 평온하고 건강해진 모습이었다. 그래도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생길 때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생태계를 사랑하면서 화학 및 생
물
학 기초가 충실한 학생이 연구실에 많이 지원해 함께 연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기초 데이터를 쌓아 나가는 것이 이곳 연구실의 일이다. 모형선박의 후류에서 나오는
물
살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입자영상유속분석기(PIV)’를 예인수조에 도입한 것도 이 연구실이 국내 최초다. 현재 이곳 연구실에서 주력하고 있는 연구과제는 ‘선박손상상태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여객선이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남쪽 200km 떨어진 브랜스필드와 웨델 해로 향했다. 이후 이 지역을 항해하며 해양퇴적
물
을 채집한 뒤 21일 세종기지로 돌아왔다. 이 지역은 남극에 가까워 연구 가치가 높았지만, 떠다니는 빙하(유빙)가 많아 아라온 호가 없을 때는 연구하기가 쉽지 않던 곳이다.빙하를 시추해 분석하는 연구도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