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끈망둑은 전세계에 17종, 우리나라에서는 7종이 서식하는 물고기예요. 다만 호수에서 발견한 미끈망둑은 그 어떤 물고기 하고도 생김새가 달랐어요. 머리가 크고 피부 색이 옅었고, 눈이 퇴화돼 매우 작았거든요.연구진은 약 6000년 전에 빙하기가 끝나면서 해수면이 높아져, 동굴에 바닷물이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실은 옥이라는 게 반전이다. 그런데도 에메랄드 불상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이를 처음 발견한 주지스님이 이를 에메랄드로 착각했기 때문이다.또 열반의 사원에서 만난 길이 49m, 높이 12m의 와불상(누운 자세의 부처상)은 사진 한 장에 전체를 담기 힘들 정도로 거대했다. 마지막으로 들른 새벽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스페인 지브롤터 부근의 동굴 벽에서 네안데르탈인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체크 무늬를 발견했다. 3만9000년 전의 유적이며 의도적으로 뾰족한 물체로 조심스레 새긴 것이었다.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할 능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이형우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능력-계획하기, 평가하기, 의사결정, 메타인지 학습법으로 생각하기.● 수동이의 통제 : 발견술 과정을 통해 얻게 된 정보로 문제 풀이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 학교에 가는 시간 동안 버스에 앉아 궁리해 보기도 하고, 학교에 도착하면 자투리 시간에 수학교과서를 꺼내 개념을 다시 한 번 떠올려 ...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지수상수는 변화를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극한의 경우를 계산하다 보면 지수상수를 발견 할 수 있죠.Q2 컴퓨터가 인간의 상상력을 뛰어 넘을 수 있을까요?질문을 한번 곱씹어 봅시다. 컴퓨터가 인간의 상상력을 넘어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그 판단은 누가 해야 할까요?누구도 쉽게 대답할 수 없을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 있도록 2년간 보존, 정리하는 자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힉스 입자를 발견한 LHC에서 ‘아틀라스’와 ‘CMS’라는 두 개의 양성자-양성자 충돌 검출기 팀이 교차 실험을 했던 것처럼, 테바트론에도 ‘CDF’와 ‘DZero’라는 두 개의 충돌 검출기 팀이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이들 실험팀이 ... ...
- [과학뉴스] 유럽인의 조상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알 수 있었다. 또 이 지역은 당시 네안데르탈인도 살았던 지역으로, 이번 화석의 발견으로 두 인류가 공존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최초의 지역이 됐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월 2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4만 년 전 인류, 예술로 소통해요~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선정 10대 과학뉴스로 이름을 올린 소식 중에 예술 분야가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동굴벽화의 연대를 새로 측정했는데, 지금껏 ‘예술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던 유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앞선 것으로 나왔다. 유럽과 동남아시아인들이 비행기를 타거나 SNS로 교류했을 리는 없고, 각각의 ... ...
- [과학뉴스] 다중성계 형성 초기, 첫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구-태양 간 거리) 거리를 둔 채 중력으로 묶여 있는 가스 덩어리 3개와 아기 항성 1개를 발견했다. 분석 결과, 가스 덩어리들은 4만 년 안에 별이 돼 아기 별과 함께 사중성계를 형성하며 그 중 하나는 100만 년 안에 이탈해 결국 삼중성계로 남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2월 1 ...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치다. 윌리엄 박사는 지진다발지역에 공통적으로 셰일가스 시추정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사이언스’ 2013년 7월 12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진은 분명히 물 주입(injectioin)과 관련 있다”고 확신했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작은 도시 영스타운은 심지어 ‘셰일가스 지진’의 대명사가 ... ...
이전3583593603613623633643653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