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여러 번 반복되는 순서를 말합니다. 저는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입니다. 원래 키가
작은
것이 콤플렉스였는데,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키도 키우고 꽃도 개량할 수 있었습니다. 가로수 오디션에는 처음 참가합니다. 아직도 후보 가로수 중 가장 키가 작지만 잘 부탁합니다! 저는 ‘학자나무’로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복용하면 앞서 설명한 만발성 운동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성분과 달리 크기가 매우
작은
지용성 성분이어서 뇌를 감싸고 있는 혈관을 통과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소화가 잘 안될 때 습관적으로 탄산음료를 마시거나 속이 쓰릴 때 우유를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탄산음료는 마시는 즉시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작은
크기의 초기 영장류는 과일과 이파리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 몸집이 비교적
작은
원숭이는 곤충이나 애벌레 정도 되는 동물성 단백질을 먹기도 합니다.하지만 오랑우탄이나 고릴라처럼 몸집이 큰 유인원은 거의 채식만 합니다. 거대한 몸집을 유지할 만큼 고기를 많이 구할 수 있다는 보장이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반비례하여 작아진다면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안정적인 궤도로 돌기 어렵다. 외부에서
작은
힘만 작용하더라도 태양으로 끌려들어가거나 우주공간으로 튀어나가 버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완벽한 지구 만들기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Part 2. 나만의 지구를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능했다. 그러나 물고기에게 같은 장치를 달려면 크기와 무게를 줄여야 한다. 연구팀은
작은
안경 형태로 장치를 설계할 계획이다. 또 원격유도 장치를 방수가 되게 설계해야 한다. 동시에 원격유도장치의 자가 충전 시스템 개발도 필요하다.이필승 교수는 “현재 진행중인 물고기 실험을 완료하는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질감까지도 느낄 수 있지. 보통 박쥐가 이 정도인데 다른 박쥐보다 청력이 더 예민한
작은
갈색박쥐는 얼마나 세밀하게 주변 환경을 파악하겠어. 모기 잡는 건 약과야.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물체도 슥슥~, 민첩하게 피한다니깐. 물고기가 만들어내는 물결파장을 탐지해서 수면 아래 물고기까지 잡는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진행되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하얀색 캔버스에 흩어져 있던
작은
점들이 요동을 치다가, 갑자기 여기저기서 스위스 치즈 안에서 볼 수 있는 거품 같은 빈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그 가장자리에서 필라멘트 같은 구조물들이 성장하면서, 어두운 저녁 거리에 가로등이 켜지듯이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껴안는다. 우리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는 이유 중 하나도 이러한 일상에서 오는
작은
행복 덕분일 것이다. [기사에 나온 사진과 자료는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라는 책을 펴낸 윌북에서 제공했습니다. 이 책은 미국 뉴욕공립도서관에서 ‘청소년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 ... ...
6000만 년 전 악어 잡아먹는 거대 거북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크고 강한 턱뼈를 통해 이 거북이 잡식성이었을 거라고 추정했다. 먹이는 연체동물부터
작은
거북까지 다양했다. 또 이런 거북 한 마리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주변에 넓은 영역이 필요했다고 추정했다. 크세프카 교수는 “호수 하나에 카보네미스 한 마리씩 살며 주변의 경쟁자들을 모두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하수가 잘 흘러도 싱크홀이 생길 수 있다. 지하수가 흐를 때 점토, 실트, 모래 등 크고
작은
알갱이들도 함께 흐르며 지하수가 흐르는 구멍을 점점 깎아낸다. 지하수길이 침식돼 점점 커지면서 싱크홀의 위험도 높아진다.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싱크홀은 허리케인이 쏟아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