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꾸러기 원인은 유전자 고장
과학동아
l
201103
유전자가 생체시계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돕는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앨리다
교수
는 “뇌에서 생체시계 단백질이 일어나라는 신호를 보내면 생물은 잠에서 깰 준비를 한다”며 “사람에게 초파리의 per 유전자와 비슷한 일을 하는 유전자를 찾아낸다면 수면장애와 시차적응 등의 문제를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03
볼 때 지금이 침출수를 뽑아낼 적절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물론 문제도 있다. 박
교수
는 “현장에서는 제대로 관리가 안 돼 기껏 모은 침출수를 외부 흙구덩이에 모으기도 하고 다른 지역에 운반해서 소독하기도 한다”며 ”오히려 바이러스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만약 침출수가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사람들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작용을 무릅쓰며 민간요법을 쓰기도 한다. 이
교수
는 “신경성 통증 분야는 아직 개척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이 진출해 신경성 통증의 발병기전을 더 자세히 밝혀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우울증, 자폐증을 비롯해 알츠하이머,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03
고백의 순간에 선물이 고민이라면 꽃이 가장 무난하다. 지네트 해빌랜드 미국 럿거스대
교수
는 20~60대여성 150명에게 꽃, 양초, 과일이 든 상자를 선물했다. 이 중 꽃을 받은 여성 모두 기쁠 때 짓는 표정인 ‘뒤센미소’를 지었다.여성은 왜 꽃을 좋아하는 것일까. 미국의 진화심리학자 고든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03
흐뭇한 미소’를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재미와 진지함을 동시에 추구하는 개그맨이자
교수
이윤석.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그는 ‘웃음의 과학’에 이어 행복도 과학적으로 풀어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책을 써보니 과학 교양서가 예능과 닮았다는 사실을 새로 알았습니다. 예능이 재미뿐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03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인공근육을 개발했습니다. 국내에선 김선정 한양대
교수
팀이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생체인공근육을 연구하고 있습니다.미래의 로봇이 어떤 모습을 하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최고의 효율성을 얻고자 한다면 동물의 근육세포를 배양해 로봇의 골격에 연결하는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03
연구해야 좋을지에 대한 고민으로 좁혀진다. “좋은 대학에 가는 이유는 좋은 환경, 좋은
교수
님이 있기 때문이야. 학문 탐구와 연구 환경이 잘 갖춰진 학교가 바로 명문대가 된 거지. 명문대를 가려면 과학고가 유리하고 또 교육 혜택이 더 좋기 때문에 진학하는 거고. 그러면 과학고를 가기 위해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03
같은 종이 된다.실제로 다지역연계론의 주창자 밀포드 월포프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교수
는 1994년에 호모 에렉투스 종명을 없애자는 논문을 내고 그 이후 논문에서 모든 호모 속의 집단들을 호모 사피엔스로 불렀다. 1999년에는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루돌펜시스마저 오스트랄로피테 쿠스 속으로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03
모두 “기술적 진보와 편리함보다 중요한 것이 안전”이라고 강조했다.최동환
교수
는 “1960년대 미국 드라마 ‘스타트랙’에서는 폴더형 휴대전화, 수직이착륙 우주선, 순간이동 같은 기술이 모두 등장했었다”면서 “당시엔 꿈같은 이야기였지만 현재 폴더형 휴대전화보다 발전한 스마트폰이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03
두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뿌리세포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이다.임
교수
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작물들은 대부분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변이가 생긴 것이지만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 수 없었다”며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