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새로운 정보를 계속 보내올 수 있다. 이때는 우주태양광발전소와 우주 탐사선 사이의
거리
가 멀기 때문에 직진성이 좋은 밀리미터 파장의 마이크로파나 레이저광을 사용한다.또한 무선전력전송기술을 활용하면 높은 곳이나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로봇, 외딴 섬마을 또는 등대에 에너지를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한다.미활용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저온이고, 시간적 변동이 크며, 수요지와
거리
가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미활용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열의 회수·변환·저장·수송기술이 핵심이 다. 저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고효율 열교환기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증가한다. 그러나 필자가 조사한 신진대사망은 생명체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그 평균
거리
가 약 3으로 일정했다. 이는 임의의 한 물질로부터 원하는 다른 물질을 생성하기까지 평균적으로 약 3번의 생화학반응만 거치면 충분하다는 말이다. 생명체가 외부 환경의 변화나 질병에 적응하기 위해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약화시키는 화학물질의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때문에
거리
의 미관을 해치는 골칫
거리
인 껌을 손쉽게 제거하는 날도 머지않아 올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지금 당장은 껌을 함부로 버리는 사람들의 습관을 고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할 듯하다.타이어 될 뻔한 껌에서 위산 제거용 껌까지껌은 1848년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길어지면서 차츰 바닷물속에 녹게 된다. 즉 바닷물 속에 투입된 이산화탄소는 부상
거리
90-1백20m 이내에서 모두 용해된다. 이런 이산화탄소의 깊은 바닷물 속 저장은 농축된 이산화탄소 액체를 변온층, 즉 수심 1천m 이상의 심해에 주입하는 것을 기본 방법으로 하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이를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천5백미터 이상의 장
거리
달리기에서는 상대적으로 선수들의 기록이 저조했다. 장
거리
를 달릴 때는 산소가 훨씬 많이 필요했기 때문이다.멕시코시티 올림픽 이후부터 스포츠 현장에서는 고산지대에서 경기를 수행할 때 좋은 기록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키타가 외형을 디자인했다.와카마루는 머리에 붙어있는 센서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와
거리
를 판단하면서 치마 밑에 달려있는 바퀴를 사용해 우아하게 움직인다. 자신의 끼니인 전기도 알아서 충전하므로 집안에서 1년 내내 인간과 함께 생활할 수 있다. 와카마루는 혼자 사는 노인의 벗이 될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어린이부터 청년, 할머니까지 각 연령층 관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도심
거리
에 ‘에든버러 과학축제’라는 현수막 하나 붙어있지 않기에 이 같은 열기는 더욱 인상적이었다.에든버러 과학축제는 워낙 전통이 깊은 행사이기 때문에 뚜렷한 홍보가 필요없다고 스코틀랜드영국문화원의 게일은 ... ...
영국경찰이 무장하기 시작한 전기총격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간격이 있어도 되지만 뇌우(雷雨)처럼 소규모의 것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관측점 사이의
거리
는 5~10km의 간격이어야 한다 일반적인 해양관측 외에 해상에서 기상관측을 하는 해양관측선의 일종 정해진 지점에서 관측을 하는 동시에 필요할 때는 바다 위를 이동하면서 관측한다유체역학(流體力學)의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지구상에 존재하는지를 이미 체득하고 있었다.이병훈 교수는 자신의 연구실의 5분
거리
에서도 그렇게 흔하던 톡토기도 이젠 구하기 힘든 현실에 안타까워한다. 그는 생물다양성이 자연생태계를 유지해주고, 이를 통해 우리는 필요한 양식, 공기, 약품 등을 얻게 된다고 얘기했다. 하지만 이와 같이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