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짧았고, 해가 서쪽으로 기울어갈수록 그늘은 길어졌다. 나무그늘, 서있는 사람의 그림자,
땅
을 향해 수직으로 선 기둥들의 그림자는 태양의 시간을 재고 있었다.●-해시계가 정한 로마의 출근시간그림자가 있는 것이면 모두 태양의 시간을 잴 수 있다는 사실은 단순하지만 놀라왔다. 사람들은 이를 ... ...
북극 그 자연과 이용가능성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이것은 고산식물의 그것과 닮은 환경이다. 그때문에 북극권 식물은 거의가 작으며
땅
바닥에 붙어 기는 가지를 지닌 다년생초본이다. 그것은 환경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생명줄과 같은 잠깐 동안의 햇빛을 최대한 이용한다. 툰드라에서 생육하는 지의류는 균류와 녹조가 공생하는 것이다. 균류는 ... ...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죽음의 계곡 DEATH VASSEY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여러 생물들이 번창했던것으로 보인다. 사막화의 진전에 따라 지금과 같은 메마른
땅
이 되었을 뿐이다. 현재 이 계곡가운데 약 5백50평방마일이 해수면보다 낮으며 특히 '배드워터'라는 지역은 지구상에서 세번째로 낮은 지역이다. ●- 한때 금광으로 번창캘리포니아 골드러시는 이곳까지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사람들(말라가시)은 이곳의 독특한 암산을 '트윈기'(동물이 서식할수 없는
땅
)라거나 '스파이크'라 부르고 있다. 헬리콥터는 방향을 바꿔 약 1백50㎢에 이르는 뾰족하게 깎인 바위에 둘러싸인 평탄한 장소에 내렸다. 란드리아나솔로씨는 전에 이 트윈기를 걸어서 횡단하려 시도했다가 면도날처럼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와 탄자니아에서 발굴된 '라에트리' 발자국에서 입증됐다. 이들은 작은 뇌를 가졌지만
땅
위에서 생활했고 직립보행을 했으며 나무나 자연물을 도구로 사용했다고 추정된다. 그후 '루시'와 비슷하지만 뇌용량이 보다 큰 '호모하빌리스'가 1백75만년전까지 살았다. 1백50만년전부터는 오늘날의 인간의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설에 한때 큰 혼란에 빠지기도 했다. 원자로 노심이 녹으면 많은 방사능 물질이
땅
속으로 스며드는데 이경우는 흑연이 타면서 산소를 빨아들인뒤 방사성 동위원소를 공중으로 마구 뿜어댔다. 그중의 일부는 이웃 키예프의 수원지로 흘러들어가는 프리피야트강을 오염시켰다. 소련당국의 엄중한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협의회의 활동지침으로서 △우리
땅
에 뿌리박은 진정한 건축문화의 창달에 노력 △주거·도시·환경문제가 건축인의 중심적 실천영역임을 자각, 대중을 위한 건축적 사회적 해결에 나설 것 △건축문화의 발전과 창조성 제약하는 사회제도의 비민주와 행정만능,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많은 기지들이 모여 있다. 우리나라가 거의 마지막으로 이곳에서 여름철에 눈녹는
땅
을 차지함으로써 앞으로 킹조지섬에는 더 이상의 기지후보지가 없다는 것이 킹조지섬의 대부격인 칠레기지장 '후안 바스티아스 실바'사령관의 분석이다. 기지주변엔 펭귄들이 상륙해 한가하게 노닐었고 물개들도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인간들은 처음에는 나무를 잘라 사용했다. 그런 다음에는
땅
을 파헤치기 시작하더니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 그리고 천연우라늄을 사용했다. 수십억년 동안 저장되어 왔던 것이 순식간에 재생불가능하게 없어지고 말았다. 게다가 생명세계를 점차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는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또 종이꽃처럼 보이는 '부우겐빌리아'는 우리나라의 개나리와 비슷한 성질이 있어 마른
땅
에서도 잘 자라므로 울타리꽃으로 각광을 받는다. 꽃을 보면 짙은 녹색의 나무잎에 흰색 오렌지색 연한 자주색 붉은 자주색 그리고 진붉은색 등의 꽃이 핀다. 그런데 이것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여러가지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